earticle

논문검색

문화 융합(CC)

학업성취도 평가를 통한 강의평가 타당성 제고 및 수업태도에 대한 보정을 통한 강의만족도 신뢰성 제고

원문정보

Improving the Validity of Evaluation through Evaluating Academic Achievement and Enhancing the Reliability of Satisfaction of Teaching through Correction of In-class Attitude

윤규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validity of the evaluation by adding the factor of academic achievement to the subject of evaluation, and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evaluation by verifying the legitimacy of control of in-class attitude and developing the correction index of satisfaction of teaching.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it was confirmed that the students' in-class attitud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of teaching. The more positive the in-class attitude, the higher the satisfaction of teaching, and vice versa. Secondly, it was confirmed that the students' in-class attitud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The more positive the in-class attitude, the higher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vice versa. Thirdly, it was confirmed that satisfaction of teaching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High satisfaction of teaching does not mean that the quality of the teaching is high, and vice versa. Fourthly, the correction index of satisfaction of teaching was developed to correct the results of satisfaction of teaching that may be distorted due to the students' negative in-class attitude. In conclusion, academic achievement should be added as the subject of evaluation in addition to the satisfaction of teaching to improve the validity of evaluation and the correction index of satisfaction of teaching should be applied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evaluation.

한국어

이 연구는 강의평가의 대상에 학업성취도를 추가하여 평가의 타당성을 높이고, 수업태도에 대한 통제정당성을 검증하고 수업태도 보정지수를 개발하여 평가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의 수업태도는 강의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수업태도가 긍정적일수록 강의만족도가 높아지고, 수업태도가 부정적일수록 강의만족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의 수업태도는 학업성취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수업태도가 긍정적일수록 학업성취도가 높으며, 수업태도 가 부정적일수록 학업성취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강의만족도는 학업성취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강의만족도가 높다고 해서 강의품질이 높다고 할 수 없으며, 강의만족도가 낮다고 해서 강 의품질이 낮다고 할 수 없다는 의미이다. 넷째, 수업태도로 인해 왜곡될 수 있는 강의만족도 결과를 보정하기 위한 강의만족도 보정지수를 개발하였다. 결론적으로 강의만족도외에 학업성취도를 평가대상으로 추가하여 강의평가의 타 당성을 제고하고, 강의만족도 보정지수를 적용하여 강의평가의 신뢰성을 제고해야 한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강의평가 영역
2. 강의평가 영향요인
Ⅲ.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절차
3. 연구도구
4. 자료분석
Ⅳ. 연구 결과
1. 기술통계
2. 인과관계 분석
3. 강의평가 보정지수
Ⅴ. 결론 및 논의
1. 결론
2. 논의
References

저자정보

  • 윤규원 Gyuwon Yun. 정회원, 경상국립대학교 교육학과 외래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