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Effect of ESG rating on Firm Valuation Error
초록
영어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ESG on misvaluation, particularly in a context where there are growing interests on ESG from capital market stakeholders and strengthened ESG disclosure regulations for firms. We extend prior research which addressed the impact of ESG ratings on corporate value and accounting information quality alone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SG ratings and FSE. We use ESG ratings provided by the Korea ESG Standards Agency and FSE estimated under the Rhodes-Kropf et al (2005) for the period of 2011 to 2020. This study provide empirical evidence that higher integrated, social and corporate governance ESG ratings were associated with larger FSE, even after controlling for certain variables. Even when the ESG integrated rating was measured using a binary indicator variable, the positive relationship of ESG with FSE was perceived. This study contributes to literature by examining the ESG effect on FSE which is beyond analysis on the impact of ESG on accounting information quality.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that ESG management activities alone may not be effective in reducing misvaluations, and increased interest in ESG or the salience effect of ESG can lead to overreaction of stock prices and misvaluations.
한국어
본 연구는 ESG 등급이 가치평가오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ESG 등급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이나 회계정보의 품질에 초점이 맞춘 선행연구를 확장하여, ESG 등급이 가치평가오류 즉, 시장가치와 회계정보에 기 반한 내재가치의 차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2011년부터 2020년까지 한국 ESG기준원에서 제공하는 ESG 등급과 Rhodes-Kropf et al.(2005)의 방식으로 추정한 개별기업의 특성에 기인한 가치평가오류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주된 분석 결과, ESG 통합등급과 ESG 세부 등급 중 사회등급, 기업지배구 조 등급이 높을수록 가치평가오류는 커진다는 실증적 결과를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ESG가 회계정보에 미치는 영향에 벗어나 시장가치와 회계정보에 근거한 내재가치의 차이 즉 가치평가오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ESG 경영활동이 경영자의 이익조정을 통제하여 결과적으로 가치평가오류를 낮추는 것에는 제 한적이라는 시사점을 제시하고, ESG에 대한 투자자의 관심 증가, ESG로 인한 현저성 현상 또는 주가 과잉 반응 이 가치평가오류를 강화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잠재적 가능성을 보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공헌점이 있다.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및 실증적 의문사항
Ⅲ. 연구방법론
3.1 연구모형
3.2. 표본선정
Ⅳ. 실증분석 결과
4.1 기술 통계량
4.2 상관관계 분석
4.3 가설 검증 결과
4.4 추가분석Ⅰ: ESG 등급 변수를 달리한 경우
4.5 추가분석Ⅱ: 상장시장을 구분한 결과
4.6 추가분석 Ⅲ: COVID-19 기간을 제외한 경우
4.7 추가분석 Ⅳ: 등급산정 기준 변경 시점이후를 대상으로 한 결과
4.8 추가분석 Ⅴ: B+ 이상의 등급만을 활용한 결과
4.9 추가분석 Ⅵ: 재량적 발생액을 통제한 후의 결과
Ⅴ. 결론
5.1 연구 요약
5.2 기업 경영의 실무적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