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니체가 본 중국적인 도덕과 맹자의 윤리 비교 연구 - 니체의 『도덕의 계보』 제1 논문에서의 주인/노예 도덕과 『맹자』의 측은지심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Nietzsche’s View of Chinese Morality and A Comparative Study of Mencius’ Ethics : In Nietzsche’s First Paper on the Genealogy of Morality and Mencius, Focusing on the Comparison of Master/Slave Morality and the Feeling of Compassion(惻隱之心)

손희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Nietzsche divides morality into the morality of the master (the noble) and the morality of the slave (the non- noble), and criticizes the Christian morality of Europe at the time when Nietzsche lived as slave morality and Chinese morality. Nietzsche’s main morality is the morality of those who affirm everything, including aggression, are energetic, evaluate value independently, and create value. Slave morality, on the other hand, is an altruistic morality derived from resentment against the strong, not from the human subject, which makes humans inactive and dwarfed. However, Mencius says that altruistic morality is morality derived from the subject. Mencius refers to heart of compassion(惻隱之心) that cannot be cruel to others, and says that heart of compassion is a clue to sensitive concern for others(仁) that everyone has. And Mencius emphasized that politics based on the people should be based on heart of compassion and sensitive concern for others. In addition, Mencius says that this heart of compassion doesn’t make human be dwarfed, and belongs to a heart(心)-human nature(性)-sky(天) structure. It connects with human nature and an intrinsic and transcendent sky. This also contrasts with the content that Nietzsche’s master/slave morality arises from the conditions of life in reality. Through this basis, I think it is not reasonable for Nietzsche to view Chinese morality as altruistic slave morality.

한국어

니체는 도덕을 주인(고귀한 자)의 도덕과 노예(고귀하지 않는 자)의 도덕으로 구분한 뒤, 니체가 살던 당시 유럽의 그리스도교 도덕은 노예 도덕이며 중국적인 도덕이라고 비판한다. 니체가 지향하는 주인 도덕은 공격성도 포함하여 자신의 모든 것을 긍정하며 활력이 넘치고, 주체적으로 가치를 평가하며, 가치를 창조하는 자들의 도덕이다. 이에 반해 노예 도덕은 인간 주체에서 비롯된 감정이 아닌 강자에 대한 원한 감정에서 비롯된 이타적인 도덕으로 인간을 활력이 없고 왜소하게 만드는 도덕이다. 그러나 맹자는 이타적인 도덕이 주체로부터 비롯되는 도덕이라고 말한다. 맹자는 차마 남에게 잔인하게 하지 못하는 마음인 측은지심(惻隱之心=不忍人之心)을 말하면서, 이러한 측은지심은 사람이면 누구나 가지고 있는 인간의 본성인 인(仁)의 단서라고 말한다. 그리고 맹자는 이 측은지심과 인(仁)을 바탕으로 백성을 근본으로 하는 정치를 해야 함을 역설하였다. 또한 이 측은지심은 인간을 왜소하게 만들지 않으며, 심(心)-성(性)-천(天) 구조로 인간의 본성과 또 내재적이면서 초월적인 천과 이어진다고 말하였다. 이는 니체는 주인/노예 도덕이 현실에서 삶의 조건으로부터 생겨난다고 하는 내용과도 또한 대비된다. 이러한 논거를 통해 니체가 중국적인 도덕을 이타적인 노예 도덕이라고 본 것은 타당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니체의 중국적인 도덕에 대한 평가
2. 『도덕의 계보』제1 논문에서의 주인/노예 도덕
3. 『맹자』에서의 측은지심
4. 니체의 중국적인 도덕의 평가에 대한 타당성 고찰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손희욱 SON Hui Uk. 성균관대 유학동양한국철학과 박사 수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