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특집논문 : 현대경학의 방법론적 모색 - 21세기 성리학 연구, 어떻게 할 것인가?

조선 후기 학문 지형과 경전 해석의 변화 - 다산과 혜강의 경전 이해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Changes in Academic Topography and Interpretation of Scriptur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 Focusing on Dasan and Hyegang’s Understanding and Interpretation of the Scriptures

이행훈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change in international order in East Asia in the late Joseon Dynasty made it difficult to fully accept the Chinese-centered world order. Joseon claimed to be precious as a bearer of civilization, putting the Chunchudaeui(春 秋大義) and the Jonjuron(尊周論). Joseon’s Sinocentrism centered on culture, brought about changes in the academic landscape. With a sense of crisis for Dohak(道學) and Dotong(道統), he deepened the dogmatic harmony of Neo- Confucianism, and the study centered on the theory of mind formed a trend. The psychological development of Neo-Confucianism in the late Joseon Dynasty aimed at establishing the moral subject, and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thesis for each school, the interpretation of the scriptures was developed. On the other hand, a group of intellectuals who experienced the Qing Dynasty’s cultural and property system crossed the ideological boundary of Huai(華夷) and promoted Bukhak(北學), which prioritized people's livelihood and practical use. In particular, Hong Dae-yong’s cultural pluralistic perspective, which discussed the relativity of culture at the cosmic level, led to a re-evaluation of the value of Joseon's history and culture, and opened the way for Silhak based on sincerity. In addition, the change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scriptures also showed the influence of Yangming Studies while re-questioning the origin of advanced Confucianism. Jeong Yak-yong took the method of interpreting the scriptures with the scriptures, but added his own views. The vast academic achievements did not stop at empirically arranging previous commentaries, but went on to a new interpretation of human nature. On the other hand, Choi Han-gi understood the change of academics in the past as the accumulation of empirical knowledge, and showed originality by taking the existing real world as a scripture, not a literal scripture. For Choi Han-gi, the scriptures were not texts and books, but rather the real world in motion. The thinking system of Unhwa and Gihak, which integrates the universe, nature and human beings, underpins this. Although Jeong Yak-yong and Choi Han-ki's understanding of the scriptures was different, a hermeneutical approach to the scriptures could be a path to explore the philosophical characteristics of both, who were distinguished in the academic landscape of the late Joseon Dynasty.

한국어

조선 후기 동아시아 국제질서 변동은 중국 중심의 천하 질서를 온전히 수용하기 어렵게 했다. 조선은 춘추대의와 존주론을 앞세워 문명의 담지자로서 소중화를 자처했다. 문화를 중 심으로 한 조선 중화주의는 학문 지형에 변화를 일으켰다. 도학과 도통에 대한 위기의식으로 주자 성리학의 교조화를 심화하였고, 심성론 위주의 학문이 하나의 추세를 이루었다. 조선 후 기 성리학의 심학적 전개는 도덕 주체의 확립을 목표로 하였는데 학파별 논지를 구축하는 과 정에서 경전 해석학의 발달을 가져왔다. 한편 청의 문물제도를 견문한 일군의 지식인들은 화 이의 이념적 경계를 넘어 민생과 실용을 우선시하는 북학을 발흥시켰다. 특히 우주적 차원에 서 문화의 상대성을 논한 홍대용의 문화다원론적 관점은 조선의 역사와 문화의 가치를 재평가 하게 하였다. 이 연구는 경전 해석이 훈고에 머물지 않고 인간과 세계를 이해하고 실천하는 데에 목적이 있었음을 정약용과 최한기를 통해 분석했다. 정약용은 경전으로 경전을 해석하는 방식을 취하였는데, 방대한 경학적 성과는 역대 주석을 실증적으로 정리하는 데 머물지 않고 인간 심성에 대한 새로운 해석으로 나아갔다. 반면 최한기는 역대 학문의 변천을 경험 지식의 축적으로 이해하면서 문자적 경전이 아니라 현존하는 실제 세계를 경전으로 삼는 독창성을 발휘했다. 최한기에게 경전은 문자와 서적이 아니라 오히려 운화하는 현실 세계였다. 우주 자 연과 인간을 하나로 통합하는 운화와 기학의 사유체계가 이를 밑받침했다. 정약용과 최한기의 경전 이해는 달랐지만 조선 후기 학문 지형에서 이채를 띈 양자의 철학적 특색을 탐색하는 데에 경전 해석학적 접근은 하나의 경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1. 조선 중화주의
2. 학문 지형의 변화
3. 경학으로 도출한 인간관
4. 성경에서 천경으로
5. 경전 해석학적 의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행훈 LEE Haeng-hoon. 한림대 한림과학원 HK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