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부모 이혼을 경험한 조손가정 아동의 위축 및 우울, 가족 적응을 위한 미술치료 사례 연구

원문정보

An Art Therapy Case Study on the Atrophy, Depression, and Family Adaptation of Children Raised by Grandparents

박정미, 박은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presents an art therapy case study with a child that was experiencing atrophy, depression, and family adaptation issues due to the separation from parents and being raised by grandparents after the parents got divorced. The subject was a nine-year-old child who was raised by grandparents after the parents got divorced. Art therapy was provided in 50-minute sessions with a session per week for a total of 18 session between July~November, 2022. The Child Behavior Checklist (CBCL) 6-18 and the Kinetic Family Drawing (KFD) test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art therapy to examine the changes and outcomes of the child.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 decreased in atrophy and depression, took initiative, and became voluntary after art therapy; second, the participant expressed a desire for restoring relations with family members, which indicates that art therapy was helpful in the child's family adaptation issue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researchers demonstrated that art therapy is an effective intervention method to mitigate atrophy and depression in children whose parents get divorced and promote their adaptation to family in an altered structure. The art therapy case of this study will hopefull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ases in various programs.

한국어

본 연구는 부모의 이혼을 경험하고 부모와 분리되어 조손가정에서 양육되며 위축 및 우울, 가족 적응 문제를 경험하고 있는 아동을 대상으로 한 미술치료의 사례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부모 이혼 후 조손가정에서 양육되고 있는 9세 아동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고, 2022년 7월부 터 11월까지 주 1회, 50분간 총 18회기로 미술치료를 진행하였다. 또 아동・청소년행동평가척도 검사(CBCL6-18)와 동적 가족화 그림 검사(KFD)를 사전-사후로 실시하여 변화과정 및 결과를 확인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를 통해 연구 참여자의 위축감과 우 울감이 줄어들고, 주도적이며 자발적인 모습을 보이는 변화가 나타났다. 둘째, 연구 참여자가 가족원들과 관계를 회복하고 싶은 욕구를 표현함으로써 미술치료가 가족 적응 문제에 도움이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하여 본 연구자는 미술치료가 부모의 이혼을 경험한 아동의 위축감 및 우울감을 완화하고, 변화된 구조의 가족에 대한 적응에 있어 효과적 인 중재 방법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미술치료 사례를 바탕으로 향후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 및 사례 적용이 확장하여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목차

요약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문제
Ⅱ. 연구 방법
1. 연구 참여
2. 연구절차
3. 측정 도구
4. 자료 분석
Ⅲ. 연구결과
1. 검사에서의 변화
2. 미술치료 단계 및 회기별 진행 과정에서의 변화 양상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정미 Park, Jung-Mi. 명지대학교 일반대학원 심리재활학학과간협동과정 예술치료전공 박사수료
  • 박은선 Park, Eun-Sun. 명지대학교 대학원 심리재활학학과간협동과정 예술치료학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