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문화 오락이 경제 변화에 미치는 상호 영향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Mutual Effects of Cultural Entertainment and Econonmic Change

임병진

초록

영어

This study is an empirical research that analyzes the mutual influence between the cultural and entertainment index and the comprehensive stock index, which reflects the economic level of South Korea. The data used in the study regarding the comprehensive stock index and the cultural and entertainment index in South Korea consists of 504 weekly data points from January 2, 2010, to August 21, 2019. The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degree of influence between the comprehensive stock index and the cultural and entertainment index by examining the causal relationship and mutual impact between the two indicators. Although it is assumed that there i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rehensive stock index and the cultural and entertainment index in South Korea, there haven't been many systematic studies on the mutual correlation of the weekly data between the two indicator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ddress the limitations of previous research and conduct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mutual correlation and influence between the comprehensive stock index and the cultural and entertainment index in South Korea using the VAR (Vector Autoregression) model for time series analysis, as well as the variance decomposition technique of prediction errors and Granger causality analysis. The important results of the study on the weekly data of the comprehensive stock index and the cultural and entertainment index in South Korea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stability test results for the level variables of the comprehensive stock index and the cultural and entertainment index showed instability. Secondly, the stability test results for the first-order difference variables of the comprehensive stock index and the cultural and entertainment index indicated stability. Thirdly, while there was no cointegra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variables of the comprehensive stock index and the cultural and entertainment index, a cointegration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the difference variables. Fourthly, the hypothesis that the cultural and entertainment index does not have Granger causality with the comprehensive stock index was rejected, indicating that there is a Granger causality between the cultural and entertainment index and the comprehensive stock index. Lastly,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comprehensive stock index and the cultural and entertainment index in South Korea was 0.323181, indicating a positive relationship.

한국어

본 연구는 문화 오락지수가 우리나라의 경제 수준을 나타내는 종합주가지수에 미치는 상호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한 실증연구이다. 한국의 종합주가지수와 문화 오락지수 주간 자료에 관한 연구에서 사용한 자료는 2010년 1월2 일부터 2019년 8월 21일까지 504개의 주간 자료로 한국의 종합주가지수와 문화 오락지수의 두 가지 지표 간의 인과 관계와 상호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봄으로써 한국의 종합주가지수와 문화 오락지수 주간 자료 간에 미치는 영향력의 정도를 분석하고자 한다. 한국의 종합주가지수와 문화 오락지수 주간 자료는 상호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으로 판단 되나 한국의 종합주가지수와 문화 오락지수 주간 자료의 상호관련성에 대한 기존의 체계적 연구는 많지 않았다. 따 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연구가 가졌던 한계를 보완하여 한국의 종합주가지수와 문화 오락지수 주간 자료간의 상호관련성 및 상호 영향력에 문제의식 가지고 시계열분석모형인 한국의 종합주가지수와 문화 오락지수 주간 자료 의 VAR모형을 이용한 예측오차의 분산분해기법 및 한국의 종합주가지수와 문화 오락지수 주간 자료의 Granger인과 관계분석을 통한 실증적인 연구를 하였다. 한국의 종합주가지수와 문화 오락지수 주간 자료에 관한 연구의 중요한 결과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의 종합주가지수와 문화 오락지수 주간 자료의 수준변수에 대한 안정성검정 결과 불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의 종합주가지수와 문화 오락지수 주간 자료의 1차 차분변수에 안정성검정 결과는 모두 안정적임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한국의 종합주가지수와 문화 오락지수 수준변수 간에는 공적분관계가 존재하지 않으나 차분 변수 간에는 공적분 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문화 오락지수는 종합주가지수에 Granger 인과관계가 없다는 가설을 기각하게 되어 문화 오락지수는 종합주가지수에 Granger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한국 의 종합주가지수와 문화 오락지수 간의 상관관계는 0.323181으로 양(+)의 관계를 보이고 있다.

목차

국문요약
I. 서론
Ⅱ. 문헌연구
Ⅲ. 연구자료 및 연구모형
Ⅳ. 실증연구 결과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임병진 Yim, Byung Jin. 영남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