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Exploring Youth Entrepreneurship Support Policies : An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within the Context of Entrepreneurial Ecosystem and Institutional Theory
초록
영어
This study comprehensively examines youth entrepreneurship support policies in Gyeongsangbuk-do from the perspective of entrepreneurship ecosystem theory and institutional theory. Recognizing the need to strengthen youth entrepreneurship as a solution to the high youth unemployment rate and the desire for economic diversification, this study examines key youth entrepreneurship support policies and their effectiveness. It also illustrates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the local context in designing and implementing entrepreneurship support policies. To analyze youth entrepreneurship support policies in Gyeongsangbuk-do, we use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various support policies in relation to their perceived importance. The results show that the first quadrant policies, which include support for start-up funds, provision of start-up space, and support for securing human resources, have high importance and performance. The second quadrant policies,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ship education, had low importance and high performance. In the third quadrant, mentoring, consulting, and support for regulatory reform were low in importance and performance. Finally, the fourth quadrant policies, such as market access, globalization support, and R&D support, were found to have high importance and low performance. This study provides theoretical implications by extending the entrepreneurial ecosystem theory and institutional theory in the context of youth entrepreneurship support policies. Policy implications can help policymakers prioritize resource allocation and implement more effective policies by paying attention to regulatory reform and funding. Practitioners can modify training content and develop more targeted programs, and from a consulting perspective, they can provide advice tailored to local contexts and improve support to facilitate financing.
한국어
본 연구는 경상북도 청년창업지원 정책을 창업생태계이론과 제도이론 관점에서 종합적으로 고찰한 것이다. 본 연구는 높은 청년실업률과 경제적 다각화 욕구에 대한 해결책으로 청년창업을 강화할 필요성을 인식하고 핵심 청년창업지원 정책과 효과를 살펴보았다. 또한, 창업지원 정책을 설계하고 구현하는 데 있어 지역적 맥락을 이해하는 것의 중요성을 설명한다. 경상북도 청년창업지원 정책을 분석하기 위해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를 사용하여 인지된 중요성과 관련하여 다양한 지원 정책의 성과를 평가했다. 연구결과는 1사분면 정책 은 창업자금 지원, 창업공간 제공, 인력확보 지원 등으로 중요도와 성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사분면 정책인 창업가정신·창업교육은 중요 도는 낮고 성과는 높게 나타났다. 3사분면에서 멘토링, 컨설팅 및 규제 개혁 지원은 중요도와 성과가 낮았다. 마지막으로 판로개척·글로벌화 지 원, R&D 지원 등 4사분면 정책은 중요도는 높고 성과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청년창업지원 정책의 맥락에서 창업생태계이론 과 제도이론을 확장함으로써 이론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정책적 시사점은 정책입안자가 규제 개혁 및 자금 지원에 주의를 기울여 자원할당의 우선순위를 지정하고 보다 효과적인 정책을 구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실무자는 교육 내용을 수정하고 더 많은 대상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으며, 컨설팅 관점에서는 지역 상황에 맞는 조언을 제공하고 자금조달을 용이하게 하는 지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1. 창업생태계 이론과 청년창업지원정책
2. 제도이론과 청년창업지원 정책
3. 창업생태계 이론과 제도이론을 통합한 관점으로 청년창업지원정책
III. 연구 방법론
1. IPA분석
2. 연구대상
3. 측정도구 및 방법
IV. 연구결과
1. 선택속성별 평균값 차이검정
2. 중요도-성과 분석
V. 결론
1. 연구 결과 요약 및 논의
2. 시사점 및 한계점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