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중소기업 ESG 경영성과 분석을 통한 ESG 규제 정책 방향 제언

원문정보

Suggesting ESG Regulation Policy Direction through Analysis of ESG Management Performance for SMEs

양오석, 한재훈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main research question to be addressed in this article is to discover whether a company's non-financial attribute, ESG management activities,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SMEs' financial performance and market performance. To find an answer to this, this study conducted a panel model analysis using time-series data of 900 domestic SMEs during the period from 2011 to 2021, focusing on a research model consisting of ESG items and variables representing a series of financial attributes.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ESG total score was confirmed to hav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ROA and ROE, which are financial performances, while i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relationship with Tobin’s Q, which is market performance. 2) By sector, business activities in the environment (E) sector showed a positive (+) relationship with financial performance, but no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market performance. In addition, 3) management activities in the social (S) sector had no impact on financial performance, but had a significant negative (-) relationship with market performance. 4) Management activities in the governance structure (G) sector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performance. 5) Some of the financial attribute variables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 relationship with market performance, while many variables showed a positive (+) or negative (-) relationship with financial performance. From this result, it can be seen that ESG management activities generally have a positive effect on financial performance in SMEs, while positive and negative relationships with market performance coexist. Nevertheless, considering a higher level of generalization, it is difficult to conclude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ESG management activities and SMEs' financial performance and market performance is positive or negative. This can be said to be a result that disproves that the ESG management activities of domestic SMEs have not yet reached maturity.

한국어

이 글이 다루고자 하는 주요 연구 주제는 ESG 경영 활동이라는 기업의 비재무적 속성이 중소기업의 재무성과와 시장성과에 통계적으로 유 의한 긍정적 관계를 미치는가이다. 이에 대한 대답을 찾기 위해 이 연구는 ESG 항목과 일련의 재무 속성을 나타내는 변수로 구성된 연구모형을 중심으로 2011~2021년 기간 동안 국내 900여개 중소기업 시계열 자료를 사용하여 패널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발견된 사실은 다음과 같다: 1) ESG 총점은 재무성과인 ROA와 ROE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시장성과인 토빈큐에 대해 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부문별로는 환경(E)부문 경영활동이 재무성과에 대해서는 양(+)의 관계를 보이는 반면 시장성과에 대해서는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3) 사회(S)부문 경영활동은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부재한 반 면 시장성과에 대해서는 유의한 음(-)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고, 4) 지배구조(G)부문 경영활동은 재무성과에 대해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재무 속성 변수들은 시장성과에 대해서는 유의한 음(-)의 관계가 일부 관찰된 반면 재무성과에 대해서는 다수의 변수들이 양(+) 또는 음(-)의 관계를 보여주었다. 이 결과로부터 ESG 경영활동은 중소기업에 있어서 재무성과에 대해서는 대체로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시장성과에 대해서는 긍정과 부정의 관계가 공존함을 알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보다 높은 수준의 일반화를 고려하자면 ESG 경영활동이 중소기업의 재무성과와 시장성과에 미치는 관계가 긍정적 또는 부정적이라고 최종 판단하기 어렵다. 이는 아직까지 국내 중소기업의 ESG 경 영활동이 성숙단계에 이르지 못하였음을 반증해주는 결과라고 말할 수 있다.

목차

요약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및 연구가설
1. ESG 평가지표
2. ESG 측정 알고리즘
3. 비재무적 활동과 기업성과
III. 연구방법론
1. 연구모형
2. 자료 수집
3. 변수 측정
IV. 분석결과
1. 기술통계 및 다중공선성 검정
2. 피어슨 상관관계 및 다중공선성 검정
3. 단위근 검정 및 F-검정과 하우즈만 검정
5. 강건성 검정
V. 토론
1. 실무적 시사점
2. 정책적 시사점
VI. 결론
참고문헌
APPENDIX: ESG 세부 항목 내용
Abstract

저자정보

  • 양오석 Yang, Oh-Suk. 강원대학교 경영회계학부 교수
  • 한재훈 Han, Jae-Hoon. 한림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