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기업의 인력양성교육에 대한 지불의사 추정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Estimation of Willingness to Pay for Human Resources Training in Companies

이주석, 김성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For the sustainable growth of a company, it is essential to improve the quality of labor, and manpower training is necessary for this purpose. However,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effects of manpower development education. Therefore, in this study, the willingness to pay for manpower training was calculated based on the responses of 100 SMEs located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s a consumer of labor service, the effect of manpower training is identified based on the company's WTP. It can include various effects of manpower training expected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company, such as the effect of improving work capacity.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companies are willing to pay KRW 8,572.75 for training to increase the quality of work capability by 1%, and are willing to pay KRW 307,669.50 for training to add one more number of tasks that can be handled. Comparing these companies' willingness to pay with the actual cost of manpower training, it can be seen that the company's willingness to pay is relatively smaller than the cost of it. Therefore, it seems necessary to consider the government's support policy in order to actually implement manpower training for SMEs.

한국어

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노동의 질적 개선이 필수적이며 이를 위한 인력양성교육이 필요하다. 그러나 인력양성교육의 효과에 대 한 정량적 분석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에 위치한 중소기업 100개를 대상으로 인력양성교육의 지불의사액 을 산정하였다. 노동이라는 서비스를 소비하는 소비자 입장에서 기업의 WTP를 기초로 인력양성교육의 효과를 파악한다면 생산과정의 부가가 치 창출효과 외의 업무역량향상효과 등 기업의 입장에서 기대되는 다양한 교육의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기업은 업무능력의 질적 개선을 1% 증가시키기 위한 교육비로 8,572.75원을 지불할 의사가 있으며, 처리가능한 업무의 개수를 하나 더 추가하기 위한 교육비로 307,669.50원을 지불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에 따르면 추가적인 업무 교육 을 위한 기업의 지불의사액은 30만원 내외 수준이며, 노동자의 업무역량을 국내 최고 수준으로 육성시키기 위한 지불의사액은 약 85만원 정도 라고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기업의 지불의사액을 실제 인력양성교육에 소요되는 비용과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기업의 지불의사액이 작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중소기업의 인력양성교육이 실제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정부의 지원정책 등의 고려가 필요해 보인다.

목차

요약
I. 서론
II. 기존 연구 사례
III. 연구방법
1. 인력양성교육의 효과 측정과 지불의사액
2. 선택실험법
3. 속성 및 지불 수단의 결정
4. 설문조사
5. 분석모형
IV. 분석결과
V. 결론
1. 연구결과의 요약
2. 연구결과의 시사점 및 한계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주석 Lee, Joosuk. 한국해양대학교 국제무역경제학부 교수
  • 김성태 Kim, Sung-Tae. 동의대학교 경영학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