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구조적 벡터자기회귀모형을 이용한 코로나19 전후의 산업 및 실질성장 변화에 대한 분석

원문정보

A SVAR-Based Analysis of Changes in Industry and Real Growth Rate before and after COVID-19

차경수, 김영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empirically analyzes the impact of COVID-19 on the Korean industry and macroeconomy using a structural vector autoregression (SVAR) model. The analysis of production changes in by industry focuses on the changes in the two years before the outbreak of COVID-19 and the two years after the outbreak during the period 2001-2022. Meanwhile the macroeconomy is divided into aggregate supply side and aggregate demand side to analyze the structural decomposition of the impact of the COVID-19 pandemic and predict the direction of future changes. Most manufacturing industries have exceeded their pre-pandemic production levels, but nine industries have not yet recovered. Services have generally recovered pre-COVID-19 production levels, with the exception of accommodation and food services, associations and organizations, and repair and other personal services. Interestingly, some other services showed a steady increase in the Industrial Production Index since pre-COVID-19. On the other hand, the structural vector autoregressive model analyzes the growth and decline of real gross domestic product due to the COVID-19 pandemic, and finds that the aggregate supply shock had a significant impact, but the aggregate demand shock was weak and dissipated.

한국어

본 논문은 코로나19가 우리나라 산업 및 거시경제에 미친 영향을 구조적 벡터자기회귀(SVAR) 모형을 이용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산 업별 생산변동에 대한 분석은 2001 2022년 기간 중에 코로나19가 발생 전 2개년과 발생 후 2개년의 변화를 중점적으로 살펴보고, 거시경제는 총공급측면과 총수요측면으로 구분하여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을 구조적으로 분해해서 해석하고 향후 변화방향을 예측한다. 대부분의 제조 업은 코로나19 팬데믹 이전의 생산수준을 넘어섰으나 9개 제조업은 아직 회복되지 못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서비스업은 숙박 및 음식점업과 협 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개인서비스업을 제외하고는 전반적으로 코로나19 이전의 생산수준을 회복된 것으로 나타났다. 흥미롭게도 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금융 및 보험업, 부동산업,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은 코로나19 이전부터 꾸준히 생산지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구조적 벡터자기회귀모형을 통해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실질국내총생산 증감률 분석결과, 총공급충격측면에서는 크게 영 향을 주었으나 총수요측면에서는 충격이 약하고 소멸된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요약
I. 서론
II.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팬데믹기간 거시경제의 변화
II. 코로나19가 우리나라 산업에 미친 영향
1. 자료의 수집
IV. 코로나19가 실질국내총생산(GDP)에 미친 영향 분석
1. 구조적 벡터자기회귀모형을 이용한 추정 방법
2. 구조적 벡터자기회귀모형을 이용한 코로나19영향의 추정 결과
V. 결론
1. 논의
2. 시사점
3. 한계점 및 제언
참고문헌
APPENDIX: 실질국내총생산 증가율
Abstract

저자정보

  • 차경수 Cha, Kyungsoo. 부산대학교 경제학부 교수
  • 김영신 Kim, Youngshin. 계명대학교 경제통상학부 국제통상학 전공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