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청년층의 커뮤니티 이용 동기와 창업 태도와의 관계에서 사회자본의 매개효과에 대한 실증연구

원문정보

The Relationship between Youth's Motivation to Use Community and Entrepreneurship Attitude An Empirical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하준식, 동학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lthough youth entrepreneurship in Korea is increasing every year, it is insufficient in both quantity and quality compared to youth entrepreneurship in start-up countries such as Israel and the United States. In order to further promote youth entrepreneurship, more research is needed on policy support that can reduce fear of entrepreneurship and have an active and positive attitud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realistic plan to revitalize young people's entrepreneurship, which has recently emerged as a social issue. Specifically, the mediating effect of bridging and bonding social capital was verified between the community use motivation, which is divided into information seeking and relationship formation, and entrepreneurial attitude. Linking social capital can be understood as a weak link, and cohesive social capital as a strong link between participants. The community channels were divided into online and offline channels, and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young people with experience in participating, and AMOS 23 was used to analyze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search for information and the formation of relationships, which are the motives for using the community, had a positive (+) effect on linking social capital and cohesive social capital, and these effects were found to be the same in both online and offline communities. Among the connecting social capital and the binding social capital, it was the connecting social capital that showed a positive (+) effect on entrepreneurial attitud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linking social capital played a mediating role between community use motivation and entrepreneurial attitude. These results suggest that young people are accumulating social capital through community participation and strengthening their positive attitude toward entrepreneurship through the connecting social capital. This study is meaningful as the first study to conduct a full-scale empirical study targeting young people who have participated in the community by classifying social capital as a significant antecedent factor in entrepreneurial attitude into capital by weak and strong connections. . In order to expand youth entrepreneurship, it is considered that it will be a guide for preceding activities that make young people's entrepreneurial attitude positive by demonstrating the influence of the community as a preceding experience that improves the entrepreneurial attitude of young people and acquiring social capital through this. Through this study, it is hoped that theoretical research on community will be more active in the future and that community familiar to young people will be used as useful basic data for policymaking for entrepreneurship culture to expand participation in entrepreneurship.

한국어

우리나라의 청년창업은 매년 증가하고 있으나, 이스라엘이나 미국 같은 창업대국의 청년창업에 비해서는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모두 미흡하 다. 따라서, 청년창업을 더욱 촉진하기 위해서는 창업에 대한 두려움을 줄이고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태도를 가질 수 있는 현실적인 방안을 강 구해야 한다. 본 연구는 정보추구와 관계형성으로 구분되는 커뮤니티 이용 동기와 창업태도의 사이에서 연결적(bridging), 결속적(bonding) 사 회자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결적 사회자본은 참여자 간의 약한 연결, 결속적 사회자본은 강한 연결로 이해할 수 있다. 온라인과 오프라 인으로 커뮤니티 채널을 구분하여 참여경험이 있는 청년층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AMOS 23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 모델로 해 석하였다. 연구 결과, 온라인·오프라인 커뮤니티를 이용하는 목적인 정보추구와 관계형성은 모두 연결적 사회자본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온라인 커뮤니티 정보추구 이용 동기와 오프라인 커뮤니티 정보추구·관계형성 이용 동기는 결속적 사회자본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나, 온라인 커뮤 니티 관계형성 이용 동기는 결속적 사회자본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연결적 사회자본과 결속적 사회자본 중 창업태도에 정(+)의 영향을 보 인 것은 연결적 사회자본이었다. 또한 연결적 사회자본이 커뮤니티 이용 동기와 창업태도 사이에서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청년층이 커뮤니티 참여를 통해 사회자본을 축적하고 이 중 연결적 사회자본을 통해 창업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강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그 동안 창업태도에 의미 있는 선행요인으로서의 사회자본을 약한 연결과 강한 연결에 의한 자본으로 구분하고, 커뮤니티에 참여 한 경험이 있는 청년층을 대상으로 본격적인 실증연구를 진행한 첫 연구로서 의미를 갖는다. 청년창업 확대를 위해 청년층 창업태도를 향상시 키는 선행 경험으로서의 커뮤니티의 영향력을 실증하고, 이를 통해 사회자본을 획득함으로서 청년층의 창업태도를 긍정적으로 만드는 선행 활 동의 가이드가 되어줄 것으로 사료된다. 연구를 통해 향후 커뮤니티에 대한 이론적 연구가 더욱 활성화 되고 청년층에게 익숙한 커뮤니티를 활 용해 창업참여 확대를 위한 창업문화 정책입안의 유용한 기반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목차

요약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1. 커뮤니티
2. 사회자본
3. 창업태도
III. 연구 모형 및 가설의 설정
3.1 연구모형
3.2. 연구가설
IV. 연구 방법론
4.1. 변수 측정 및 조작적 정의
V. 실증 분석결과
5.1. 연구 표본의 일반적 특성
5.2. 확인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 검증
5.3. 상관관계 분석 및 판별타당성 검증
5.4. 가설 검증
V. 결론
1. 연구 요약 및 시사점
2. 한계점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하준식 Ha, Jun-Sik. 호서대학교 벤처대학원 정보경영학과 박사과정
  • 동학림 Dong, Hak-Lim. 호서대학교 벤처대학원 정보경영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