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특집논문 : 근현대 불교 인물 탐구

설악 무산의 한국선종사 인식과 ‘설악산문’

원문정보

Seorak Musan’s Recognition of the History of Korean Seon Order and ‘Seorak Seon Sect’

김상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eorak Musan(雪嶽霧山, 1932~2018), a great patriarch, is famous for his pen name Cho Oh-Hyeon(曺五鉉). The 200 pieces of sijo he left behind were praised by many literary figures, and he is evaluated as the person who first pioneered the field of ‘Korean Seon sijo’. From the time he became the elder master of Shinheungsa Buddhist Temple in 1992 until his death, Musan worked hard for the founding of Seorak Seon Sect. Musan wrote an article titled “The meaning of hanging a signboard on Seorak Seon Sect.” Although it is a short article, his perception of the history of the Korean Seon Order and the purpose of the founding of the Seon Sect are implicitly well contained in this article. This paper is written with the purpose of examining the founding of Seorak Seon Sect and its significance in Korean Buddhism history, focusing on the article written by Musan. After 500 years of history, the Jogye Order was rebuilt in 1941 as the ‘Jogye Order of Joseon Buddhism’ and then as the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in 1962. And in the current Jogye Order's Order constitution, Doeui is specified as the founder of the Order (宗祖). As such, the Jogye Order and Doeui, the founder of the sect, were thrilled to be resurrected in history, but the history of the Seon Sect of nine mountains ended up remaining as a history of ‘severance’. In Korean Buddhism history since the 20thcentury, the founding of Seorak Seon Sect by Musan was a major event comparable to the reconstruction of the Jogye Order. In particular, the purpose of ‘Jogyeseonpung Siwondoryang Seorak Seon Sect(曹溪禪風始原道場雪嶽 山門)’, which he advocated, is more valuable in that it was established based on the history of Korean Seon Buddhism or a historical consciousness that penetrates the core of the history of the Jogye Order. Musan is a high priest who revived the history of Seon Sect of the Jogye Order, which had been cut off, as a history of ‘succession’. In modern Korean Buddhist history, these achievements of Musan will need to be continuously evaluated and promoted.

한국어

설악 무산(雪嶽霧山, 1932~2018) 대종사는 조오현(曺五鉉)이라는 필명 으로 유명하다. 그가 남긴 200여 수의 시조 작품은 많은 문학인들로부터 칭송을 받았으며, 그는 처음으로 ‘한글 선시조(禪時調)’ 영역을 개척한 인 물로 평가된다. 무산은 1992년 신흥사 회주가 된 이후 입적할 때까지 설악산문의 개산 을 위해 노력하였다. 무산은 「雪嶽山門을 懸板하는 뜻」이라는 글을 지었는 데, 비록 소략한 분량의 글이지만 그의 한국선종사 인식과 산문 개산의 취 지는 이 글에 함축적으로 잘 담겨 있다. 이 논문은 무산이 지은 이 글을 중심으로 설악산문 개산과 그것에 담겨 있는 불교사적 의의를 살펴보고자 하는 목적을 지니고 작성되었다. 조계종은 500여 년의 역사를 지난 이후 1941년 ‘조선불교조계종’을 거 쳐 1962년 ‘대한불교조계종’으로 재건되었다. 그리고 현 조계종단의 종헌 에는 도의가 종조(宗祖)로 명시되어 있다. 이처럼 조계종과 종조 도의는 역사 속에서 되살아났지만, 구산선문의 역사는 끝내 ‘단절’의 역사로 남게 되고 말았다. 20세기 이후 한국불교사에서 무산의 설악산문 개산은 조계종의 재건에 견줄만한 의의를 지니는 일대 사건이었다. 특히 그가 표방했던 ‘조계선풍 시원도량 설악산문(曹溪禪風始原道場雪嶽山門)’의 취지는 한국선종사, 또 는 조계종사의 핵심을 관통하는 역사의식을 바탕으로 성립되었다는 점에 서 더욱 소중한 의의를 지닌다. 무산은 단절되었던 조계종의 산문 역사를 ‘계승’의 역사로 되살린 고승이다. 현대 한국불교사에서 무산의 이러한 업 적은 지속적으로 평가되고 선양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목차

한글요약
Ⅰ. 머리말
Ⅱ. 산문(선문)의 계승과 단절
Ⅲ. 조계선풍 시원도량으로서의 설악산문
Ⅳ. 무산의 설악산문 개산과 그 의의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상영 Kim, Sang-young. 前 중앙승가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