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Background: Attention is focused on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factors for children's holistic development, and stable psychology of children. In relation to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attention is required to self-control of children, parents' parenting behavior, and social support, which are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factors.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children's self-control and the controlled mediating effect of parents' social support, along with the effect of parents' parenting behavior on children's aggression. Methodology/Approach: To this end, this study used the 7th (2014) survey data of children aged 5 to 6 years old who are over 60 months old, which is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A total of 1,620 people participated in the 7th survey of the Korean Children's Panel, and data from 1,561 people who responded to all the metrics used in the analysis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5 and PROCESS Macro programs. Findings/Conclusions: The more compassionate the parenting behavior of parents, the more significant the child's self-control increased. Increased child self-control significantly affected the direction of reducing child aggression. The higher the child's self-control, the more significantly the aggression decreased, and the higher the social support, the more significantly the child's aggression decreased.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trolled mediating effect of children's self-control and social support was significant. Implica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mplications for policy and practical interventions that can contribute to improving parents' parenting behavior and children's self-control were presented.
한국어
배경: 아동의 전인발달을 위한 개인 및 환경적 요인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으며, 아동의 안정적인 심 리, 사회, 정서 발달과 관련하여 개인 및 환경적 요인이 되는 아동의 자기통제와 부모의 양육행동 및 사 회적 지지에 대한 관심이 요구되고 있다.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양육행동이 아동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과 함께 아동의 자기통제의 매 개효과와 부모의 사회적 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론/접근: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한국아동패널의 조사자료(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인 자녀 아 동의 나이가 60개월 이상의 만5~6세 대상의 7차(2014년) 조사 자료를 사용하였다. 한국아동패널 7차 조 사는 총 1,620명이 참여하였으며, 분석에 사용된 측정지표에 모두 응답한 1,561명의 자료를 SPSS 25와 PROCESS Macro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결론: 부모의 양육행동이 온정적일수록 아동의 자기통제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증가한 아동의 자기통제는 아동의 공격성을 줄이는 방향으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쳤다. 아동의 자기통제가 높을수록 공격성이 유의미하게 감소하였으며,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아동의 공격성이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아 동의 자기통제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는 유의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시사점: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부모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자기통제를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는 정책 적, 실천적 개입을 위한 함의를 제시하였다.
목차
요약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아동의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 부모의 양육행동의 영향
3. 자기통제의 영향
4. 사회적 지지의 영향
Ⅲ. 연구 방법
1. 조사대상
2. 측정도구
3. 분석방법
Ⅳ. 연구결과
1. 주요변인에 대한 기술통계
2. 자기통제의 매개효과 검증
3.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검증
4. 자기통제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검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