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아르타바즈드 펠레시안(Artavazd Pelechian)의 ‘거리가 있는 몽타주 Montage at distance’ - <사계 Seasons of year>(1975)에서 나타나는 이미지의 다의성 중심으로

원문정보

Artavazd Pelechian’s ‘Montage-at-a-distance’ - Focusing on Multiple Meanings of Images in Artavazd Pelechian’s Seasons of the Year (1975)

김무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concept of the 'montage', conceptualized by Soviet film directors in the early era of film history, i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successive shots. The leading Soviet montage theorists, Eisenstein and Vertov, had conflicting positions about montages, but their montage theories still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adjacent shots. The era of Eisenstein and Vertov ended when they hit the wall of national ideology, but their classical montage concepts form the general concept of montages at present. The richness of montage theory is caught by the magnetic field of classical montage theory. Artavazd Pelechian's 'Montage-at-a-Distance' reawakens the richness of montages, halted in the past. Pelechian's Montage creates a distance between the shots and the interaction between them through numerous links. Pelechian created a disjunction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successive shots, on which classic montages focused. Pelechian uses long distances between shots to convey multiple meanings in the film. 'Montage-at-a-Distance' captures multiple meanings that do not come together and yet can convey the emotions expressed by the images to the audience. The film aesthetics of Pelechian, which are not clearly defined as a single meaning as in reality, but are felt as an emotion, and can be said to be the beginning of new cinema.

한국어

영화사 초기에 소비에트 영화감독들이 개념화한 몽타주는 인접한 쇼트들의 관계이다. 대표적인 소비에트 몽타주 이론가 에이 젠슈타인과 베르토프는 몽타주에 대한 상반된 입장을 가지고 있지만 그들의 몽타주 이론은 여전히 인접한 쇼트들의 관계를 탐구한다. 에이젠슈타인과 베르토프의 시대가 국가 이데올로기의 벽에 부딪혀 멈추고 이들의 클래식 몽타주는 현재까지 몽타 주의 일반개념을 사용된다. 풍부했던 몽타주에 대한 사유는 클래식 몽타주 이론들의 자장 안에 멈추어 있다. 펠레시안의 ‘거 리가 있는 몽타주’는 멈추어 있는 몽타주에 대한 사유를 다시 깨운다. 펠레시안의 몽타주는 클래식 몽타주 이론가들이 주목했 던 인접한 쇼트의 관계에서 벗어나 먼거리에 존재하는 쇼트들의 관계를 탐구한다. 펠레시안의 몽타주가 만드는 ‘거리가 있는 몽타주’는 하나로 모이지 않는 다양한 의미를 담아내고 이미지가 표현하는 정서를 관객들에게 전달한다. 우리의 현실이 그런 것처럼 명확하게 하나의 의미로 정의되지 않고 정서로 느껴지는 펠레시안의 현실은 새로운 영화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다.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1. 아르타바즈드 펠레시안의 영화세계
2. ‘거리가 있는 몽타주’의 미학
2.1. 몽타주의 해체성과 다의성
2.2. ‘거리가 있는 몽타주’의 방법론
2.3. 영화 <사계> 작품 분석
3.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무영 Kim, Mooyoung.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영상예술학과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