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주식의 소수단위 거래 관련 제문제 - 회사법적 검토의 한계와 신탁법리에 의한 거래구조 설계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Legal Issues on the Recent Changes of Stock Trading System into Decimalization - Based on Trust Principle

김태진

한국신탁학회 신탁연구 제5권 1호 2023.06 pp.29-66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Recently, they are often referred to as "decimal shares" in practice; however this term is not legally correct. The members of a company are its shareholders, who hold a share capital. The Korean Commercial Code ("KCC") is establishing numerous corporate regulations based on the legal principle of share indivisibility. Ownership of a share represents the shareholder's proprietary rights, such as the right to vote, the right to receive dividends and the right to own additional shares. The minimum unit is one share, at least, under the KCC when calculating the shareholding equity ratio. Additionally, one share cannot be divided into fracitons or decimals when traded or when a shareholder exercises their rights. Shares are traded in whole numbers, not fractional or decimal shares. It has long been believed that it is not possible to create a trading unit lower than one share (i.e., the minimum natural number). On the other hand, transactions in shares are generally carried out using share certificates. This means that the transfer of shares requires the agreement between the parties in order to sell and buy the shares, as well as the share certificates, (assuming the share certificate has already been issued). This serves as prima facie evidence under Article 336(1) of the KCC. Since September 16, 2019, the dematerialization of shares has been implemented in Korea. It means that any shares of the listed companies in Korean Stock Market are tranferred through electronic registration only. Delivery of the share certificate is not required. Considring these recent changes, this paper provides a legal analysis using the trust doctrine to assess the feasiblitly of a decimal trading system. However, it is not possible, from a corporate law perspective, to conduct transactions of shares in decimal units (less than one share).

한국어

주식은 인적회사 지분과 달리, 균등한 단위로 나누어 주주의 출자액 에 따라 발행되고, 주주는 자신이 소유하는 주식 수를 발행주식총수로 나눈 몫만큼 회사에 대해 비례적인 권리를 갖는다. 우리 상법상 주주권 은 “1개”의 주식을 최소 단위로 한하므로, 1개의 주식보다 낮은 단위로 는 만들 수는 없다. 주식은 사원의 지위를 나타내는 최소출자단위로서, 주주와 회사 간의 법률관계의 안정을 위해 1주 미만으로 분할하는 것 은 불가하다(‘주식불가분 원칙’). 한편 주식의 거래는 원칙적으로 주권을 매개로 이루어진다. 주식의 양도에는 주식을 양도한다는 당사자들의 합의가 있어야 할 뿐만 아니 라 그에 대한 공시방법으로서 주권을 교부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뜻이 다(상법 제336조 제1항). 또한 2019년 9월 16일 전자증권법의 시행으로 인하여 주식의 무권화 가 시행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주식 거래의 전자화 시대를 맞이 하여 1주보다 더 적은 숫자인 소수점 단위로 쪼개어 거래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해 회사법의 관점에서는 불가능하다는 점을 논증한 후, 신탁 법리를 활용하여 거래가 가능하도록 구조를 설계한 것과 관련한 몇 가 지 법적 쟁점을 다루고 있다.

목차

국문초록
I. 용어 설명 및 논의의 배경
II. 주식의 소수단위 거래구조 설계를 위한 사전 검토: 회사법적 검토의 한계
1. 현행 상법(회사법) 체계와 주식의 소수단위 거래구조허용 여부
2. 일본의 상황과 비교
III. 주식의 소수단위 거래구조 설계를 위한 신탁 법리의 활용
1. 주식의 소수단위 거래의 도입과 그 필요성
2. 거래구조 설계를 위한 제도적 장치들
IV. 주식을 신탁재산으로 하는수익증권 발행신탁 관련 약간의 쟁점
1. 수익증권발행신탁인 상장주식신탁의 ‘신탁재산’의 의미
2. 주식신탁에서의 의결권 행사자 혹은 의결권 행사 지시권자
3. 수익자와 신탁관리인
4. 단독운용인가, 합동운용인가?
V. 결어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태진 TAEJIN KIM. 고려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법학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