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system of Daehak Yeoneui Jib’ryak (大學衍義輯略) and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imperial studie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Lee Seok-hyung broke down the Yi Gang-ryeong and Sajomok systems of the Daehak Yeoneui(大學衍義) and converted them into the Il Gangryeong and Sajomok systems to compile the Daehak Yeoneui Jib’ryak that added the contents of Goryeosa(高麗史). Lee Seok-hyung converted Daehak Yeoneui(大學衍 義) and used Chipyeong Yoram(治平要覽) from the following perspectives. First, the political self-reflection of the King Se-jo. Second, it is the establishment of disciplines of kingship an learning center based on the mind of Gyeil(戒溢). Lee Seok-hyung boldly deleted the Jewang-wichijiseo((帝王爲治之序) to form the Daehak Yeoneui Jib’ryak of the Il Gang-ryeong system in order to reveal the consciousness that correct politics stems from learning and the learning view centere d on the mind of Gyeil. In addition, during the compilation process of Chipyeong Yoram, he paid attention to the formal and content characteristics of Jagyeongpyeon (自警編), wary of the monarch's absence of learning, and found the contents to lesson in Goryeosa and included them in Daehak Yeoneui Jib’ryak. Through a series of political upheavals, historical book compilation projects, and personal experiences, Lee Seok-hyung must have felt that correct politics is achieved only when the monarch strives to learn based on the mind of Gyeil. This Gyeil-cen tered academic view served as the basis for adding the Il gang-ryeong system and Goryeosa, which are characteristics of the Daehak Yeoneui Jib’ryak. In other words, Lee Seok-hyung's Daehak Yeoneui Jib’ryak can be summarized as an academic-centered disciplines of kingship that reflects the mind of Gyeil. This can be said to be a characteristic of disciplines of kingship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nd it seems th at it served as a bridgehead for the formation of Theory of Sage in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한국어
이 논문은 『대학연의집략(大學衍義輯略)의 체제를 분석하고 조선 초기 제왕학의 특징을 밝히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석형은 『대학연의 (大學衍義)』의 이강령·사조목 체제를 무너뜨리고 일강령·사조목 체제로 변환하여 『고려사(高麗史)』 내용을 추가한 『대학연의집략』을 편찬했다. 이석형은 다음과 같은 관점으로 『대학연의』를 변용하고 『치평요람(治平 要覽)』활용한 것으로 보인다. 첫째, 세조 정권의 반성. 둘째, 계일(戒 溢) 정신에 입각한 학문 중심의 제왕학 구축이다. 이석형은 올바른 정치란 학문에서 비롯된다는 의식과 계일 중심의 학 문관을 드러내기 위해 과감하게 「제왕위치지서(帝王爲治之序)」를 삭제 하여 일강령 체제의 『대학연의집략』을 구성했다. 그리고 그는 『치평요람』 편찬 과정 중 『자경편(自警編)』의 형식적·내용적 특징에 착안하여 군주의 학문 부재를 경계하며 감계가 될 내용을 『고려사』에서 찾아 『대학연의집략』에 수록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석형은 일련의 정치적 격변과 역사서 편찬 사업, 개인의 경험을 통 해 올바른 정치란 군주가 계일 정신에 입각하여 배움에 힘써야 이루어 짐을 절실히 느꼈을 것이다. 이러한 계일 중심의 학문관은 『대학연의집략』의 특징인 일강령 체제와 『고려사』를 추가한 근거로써 작동했다. 즉 이석형의 『대학연의집략』은 계일 정신이 투영된 학문 중심의 제왕학이 라고 요약할 수 있다. 이는 조선 초기 제왕학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으 며, 조선 중기 성학론 형성의 교두보를 마련했다.
목차
Ⅰ. 緖言
Ⅱ. 『대학연의집략』의 편찬 배경과 저작 의도
Ⅲ. 『大學衍義』의 변용
1. 세조 정권의 반성
2. 戒溢중심의 학문관
Ⅳ. 『治平要覽』의 활용
Ⅴ. 結語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