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損窩 崔錫恒의 贐行詩에 대한 일고찰

원문정보

A Study on Farewell Poem by Sonwa Choi Seok-hang

손와 최석항의 신행시에 대한 일고찰

이승용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focused on Farewell Poem(贐行詩) by Choi Seok-hang to examine the type of poem format Choi Seok-hang preferred and look into key figures who interacted with Choi Seok-hang during that time. Then, this study explored the techniques Choi Seok-hang used in Farewell Poem(贐行詩) to figure out his habits and patterns in poetical composition. First, Choi Seok-hang preferred a poem format with Chironnyulshi, and he mainly interacted with figures who were members of Soron Party(少論) at that time. Considering that Choi Seok-hang did not leave much of Farewell Poem (贐行詩), it is assumed that the recipients of Farewell Poem(贐行詩) in 『Sonwayugo(損窩遺稿)』 had a close relationship with Choi Seok-hang. Secondly, this study analyzed the format of Farewell Poem(贐行詩) and took a closer look into the sentence writing and composition techniques that Choi Seok-hang used to deliver the feelings of farewell effectively. According to analysis results, Choi Seok-hang often suggested the places and situations that recipients may face in the future, instead of describing the farewell situations. In addition, Choi Seok-hang said farewell to different figures but showed a habit of composing the poems with similar phrases, images, and words for the similar farewell situation. In composition of Farewell Poem(贐行詩), Choi Seok-hang actively adopted a standardized format of Chironnyulshi to maximize the beauty of expression with matching phrases and sentence writing techniques, rather than utilizing various formats and attempting new poems. Choi Seok-hang also selectively used the words and phrases that best matches the farewell situation, rather than finding new words and phrases. The Farewell Poem(贐行詩) by Choi Seok-hang mostly expresses the restrained emotions and lingering feelings of the poetic self, instead of revealing the feelings of farewell. Such a tendency is closely related to his preference for the Chironnyulshi poem format and his habit and pattern of poetical composition.

한국어

이 논문에서는 최석항의 贐行詩를 개괄하여 그가 贐行詩의 창작에 있어 어떤 시 형식을 선호하였으며, 당대에 그가 교유한 주요 인물들이 어떤 인물 인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어 최석항의 贐行詩를 대상으로 형식적인 면에서 그가 주로 어떤 章法과 造句法을 활용하여 贐行詩를 창작했는지를 고찰하는 과정에서 그의 작시 습관과 패턴을 규명해보았다. 먼저, 최석항은 贐行詩의 창작에 있어 7언 율시를 선호하는 경향이 두드 러졌으며, 그가 교유했던 주요 인물들은 모두 당대 少論에 속하는 인물들이 었다. 贐行詩를 많이 남기지 않았던 최석항의 성향으로 볼 때, 현재 『損窩遺稿』에 수록된 贐行詩의 수신자는 모두 최석항과 각별한 관계에 있었던 인물 들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贐行詩의 형식적인 측면에 주목하여 전송 객체에게 이별의 心懷 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최석항이 어떤 章法과 造句法을 활용하였는지를 면밀하게 살펴보았다. 그 결과 최석항은 贐行詩에서 자신이 마주한 현재 이별 의 상황을 단조롭게 제시하기보다는 전송 객체가 앞으로 마주하게 될 미래의 장소와 상황을 함께 제시하는 章法을 자주 활용하였다. 또 최석항이 각각 다른 인물을 전송하며 창작한 시에서 비슷한 이별의 정황에서는 유사한 心想과 詩 語를 활용하여 비슷한 詩句를 구성하는 작시 습관을 파악할 수 있었다. 최석항은 贐行詩를 창작하는 데 있어 다양한 형식을 활용하고 새로운 시 쓰기를 추구하기보다는 對句와 章法을 활용해 표현의 묘미를 극대화할 수 있는 7언 율시라는 정형화된 형식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였으며, 참신한 詩語 와 새로운 시구를 찾기보다는 전송 객체와 이별의 상황에서 가장 적합한 詩 語와 詩句를 선택적으로 활용하였다. 최석정의 贐行詩를 살펴보면 이별의 心懷를 토로한 작품보다는 시적 자아의 절제된 抒情과 여운을 표출한 시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데, 이는 7언 율시를 선호하는 그의 작시 경향과 그의 贐行詩에서 엿볼 수 있었던 작시 습관 및 패턴과도 무관하지 않다.

목차

<논문 요약>
Ⅰ. 머리말
Ⅱ. 최석항 贐行詩의 개괄
Ⅲ. 최석항 贐行詩의 章法과 造句法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승용 Lee Seung Yong.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