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서울시 외국인주민 거주지의 확장과 선주민 청년과의 저가주택 경쟁

원문정보

The Spatial Expansion of Foreigners’ Residences and the Affordable Housing Competition with the Native Young Residents in Seoul

고다현, 신인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patial characteristics and changes in the densely populated regions by foreigners in Seoul, and to analyze their residential characteristics. (Research Methods) The study analyzed the concentration and diffusion of foreigners’ residential regions using the index of spatial segregation. Subsequently, the spatial regression model was applied to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foreigners’ residential choice and the association with the native young people. (Findings) The spatial chain and characteristics of foreigner’s residential locations were confirmed. The highest residential segregation region was Guro-gu, which these areas was spreading to Jongno-gu, Yongsan-gu, Dongdaemun-gu, and Yeongdeungpo-gu. The application of the spatial regression model, considering the spatial autocorrelation of foreigners' residences, reaffirmed the their poor residential condition. Especially, it was confirmed that the native young population and foreigners are in a competitive relationship over limited housing resources as housing disadvantaged groups. (Conclusion and recommendations)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improvements to the poor living condition of foreigners’ residences and reinforcement of amenities are necessary.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se efforts are not only for foreigners but also for young people who share the same living place.

한국어

(연구목적) 본 연구는 서울시 외국인주민 밀집지역의 공간적 특성과 변화를 확인하고, 이들의 거주 환경적 특성 을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연구는 선행연구와 달리 외국인주민과 선주민 간의 관계 성을 고려했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공간분리지수를 활용하여 외국인주민 거주지의 집중화 심화와 확산 현상을 분석하였다. 이 후 외국인주민 거주지 선택의 영향요인과 주택약자인 청년 거주지와의 연관성을 분석하기 위해 공간회귀모형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외국인주민의 거주지 공간분포의 연쇄성과 특징을 확인한 결과, 가장 높은 거주지 분리가 일어 나고 있는 지역은 구로구였으며, 종로구, 용산구, 동대문구, 영등포구 등으로 확산되고 있었다. 둘째, 외국인주 민 거주지의 공간적 자기상관성을 고려하여 공간회귀모형을 적용한 결과, 외국인주민 거주지의 열악성을 다시금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청년 인구가 외국인주민 인구와 밀접한 연관성을 보였는데, 양자 모두 주택약자로서 한 정된 주택자원을 두고 경쟁하는 관계임을 확인하였다.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를 통해 외국인주민 밀집지역의 열악한 거주환경 개선과 어메니티 시설 확충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것은 비단 외국인주민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같은 거주공간을 공유하는 청년을 위한 것임을 주지할 필요가 있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외국인주민의 거주지 형성과 특성
2. 외국인 거주지 분리(Residential segregation)와 선주민과의 주택경쟁
Ⅲ. 연구방법
1. 연구자료 및 변수
2.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1. 서울 외국인 거주지 분리 지형도: 외국인 주민 밀집의 지속과 인접 지역으로의 확산
2. 외국인과 내국인 간 거주지 분리의 심화
3. 외국인주민 거주지는 어떻게 결정되는가?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고다현 Dahyun Go.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사회학과 박사과정
  • 신인철 In Chol Shin.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사회학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