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고령자 고용형태별 자산수준이 소비에 미치는 효과 분석

원문정보

Analysis of the Effect of Asset Level on Consumption by Employment Type for the Elderly

이순국, 전용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We examine the effects of asset level on consumption of household characteristics by occupational status of elderly households, using data from 7 years of National Survey of Tax and Benefit(2014-2020). Our results indicate that net assets has increased consumption levels for all age groups but there are some variations by the age groups and the asset types. The full-time workers in the 50s have an effect of increasing consumption through financial assets and real estate assets, but temporary daily workers aged over 60s have influenced on the consumption growth complemented from housing assets. In the mean time non-wage workers have increased consumption level by real estate assets. After the retirement, the consumption growth through real estate assets has been higher than those of financial assets. The temporary daily workers with relatively high income have accelerated consumption due to the increase in housing assets, while high-income non-wage workers have increased consumption levels through assets other than real estates. The wealth effect of elderly households is different by their occupational status, and thus the establishment of a multidimensional pension system suitable for each class needs to be considered, and in particular a policy for emergency and urgent consumption is designed with secure more cash liquidity.

한국어

본 연구는 고용형태별 고령자의 자산과 소득수준이 소비에 미치는 효과를 분 석하였다. 재정패널조사(2014∼2020년)를 활용하여 임금근로자와 비임금근로자 간 가구특성에 따라 연령, 소득수준, 자산유형별 소비영향은 고용형태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고령자 모든 계층에서 순자산이 늘어나면 소비는 증가한 다. 그러나 50대 상용직 근로자와 비임금근로자는 금융자산이 증가함에 따라 소 비는 양(+)의 증가를 보이는 반면, 60세 이상 임시일용직 근로자는 주택자산 증 가에 따른 소비증가 효과가 크다. 비임금근로자는 주택자산뿐만 아니라 주택외 부동산자산 증가에 따른 소비증가 효과가 있다. 이는 고용안정성이 낮은 고령자 계층일수록 주택, 토지 등 실물 자산에 대한 소비의존도가 높음을 시사한다. 한편, 고소득층 상용직 근로자는 금융자산과 주택자산 가치 증가에 따라 유의 할만한 소비증가 효과가 있다. 그러나 고소득층 비임금근로자는 토지 등 주택외 부동산자산을 통한 소비증가 효과가 크게 나타난다. 따라서 고령자에게 각 계층 별 차별적인 연금체계를 구축하고, 긴박한 소비에 대응하여 실물자산보다 적절 한 현금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는 정책을 설계할 필요가 있다.

목차

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모형 및 가설구성
Ⅲ. 기초통계량 및 자료특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부록>
Abstract

저자정보

  • 이순국 Sunkuk Lee. 제주연구원 책임연구원
  • 전용일 Yongil Jeon. 성균관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