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하버마스 이론의 사회 비판 방식과 교육학적 수용 검토 : 초기비판이론의 관점에서

원문정보

Habermas’ theory of social criticism way and the problem of its pedagogical acceptance : From the perspective of early critical theory

홍은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focus on the fact that in pedagogical research, there are no critical reviews of Habermas' social theory. In a further continuation of the existing criticism of Habermas' theory, discussions are extended, starting from the perspective of early criticism, and pedagogical acceptance of Habermas’ theory of social criticism explored. To this end, this study reviews the two-level social theory that is extensively discussed in the works of Habermas. The social theory of Habermas divides action adjustment into goal rational action and rational communicative action, and segments late capitalist societies. Next, this study makes a positive review of criticism strategy and liberation possibility in his theoretical methodology. The criticism of Habermas lies between goal rationality and communicative rationality. His social criticism focuses on the possibility of rational argumentation by exploring distorted communication. Moreover, this study discusses how his social criticism based on the separation of labor and interaction deviates from the materialistic productive domain, and disregards the universal domination relationship, that is, a productive relation. Additionally, this study points to epistemological vulnerability in his argument that autonomy increased in modern times, and notes that his theory summarized as the rational communicative action concept involves an issue in social totality. This study clarifies the limitations of the moral and philosophical transition that constitutes a normative foundation through ideal discourse in social and pedagogical criticism and derives the importance of immanent criticism that constantly contemplates the incorporation of the governed subject itself. In summary, this study emphasizes that the theory of Habermas is not involved in criticism of the subject and overlooks the negativity that affects the context of educational acts.

한국어

본 연구는 교육학 연구에서 하버마스 사회이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가 전무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이를 위해 하버마스 이론에 대한 기존의 비판의 연장성 위에서 초기 비판이론의 관점과 연계하여 논의를 확장하고 하버마스 사회 비판 방식의 교육학적 수용을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하버마스 사회이론은 행위 조정 유형을 목적 합리적 행위와 의사소통적 행위로 구분하고 후기자본주의 사회를 세분화하여 분석하는 특징을 지닌다. 본 연구에서 하버마스 이론의 방법론적 성격에 나타나는 비판 전략과 해방 가능성에 대한 긍정적 전망의 차원이 검토된다. 하버마스에게 비판의 장소는 “목적합리적 이성”과 “의사소통적 이성” 사이의 갈등에 자리한다. 이때 그의 사회 비판은 “왜곡된 의사소통”을 문제화함으로써 합리적 논증 여부에 초점을 두고 있다. 또한 노동과 상호작용의 분리에 입각한 사회 비판이 어떻게 물질적 생산 영역에서 벗어나려고 하는지 그리고 전 세계적 지배 관계, 즉 생산관계를 도외시하고 있는지에 대해 논의한다. 이어서 근대 이래로 자율성이 지속적으로 증대하고 있다고 보는 하버마스의 분석이 갖는 인식론적 취약성을 지적하고, “의사소통적 행위” 개념으로 요약 가능한 그의 이론이 사회적 총체성의 문제로부 터 자유롭지 않다는 점을 주목한다. 이러한 논의로부터 사회 및 교육비판에 있어 이상적 담화상황을 통해 규범적 근거를 확립하는 도덕철학적 전환의 한계를 짚어보고, 지배 상태로의 주체 자신의 편입을 부단히 성찰하는 내재적 비판의 중요성을 도출한다. 논의를 종합하면서 하버마스 이론이 주체의 비판에 관여하지 못하고 있으며, 교육 행위의 맥락을 지배하고 있는 부정성을 경시하고 있는 문제에 직면해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하버마스의 사회이론의 비판적 검토
1. 사회 비판 방식
2. 해방 가능성의 긍정적 전망
Ⅲ. 하버마스 사회이론의 교육학적 수용에 나타난 문제점
1. 사회 비판의 규범적 척도를 마련하는 교육학
2. 사회적 총체성과 분리된 교육의 이해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홍은영 Eun-Young Hong. 전남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