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치위생(학)과 학생이 지각한 비대면 시험의 공정성, 시험 불안 및 학교 신뢰 간의 구조적 관계

원문정보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justice of non-face-to-face exam, trust, and satisfaction with university

김형미, 김창희, 김정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Backgroun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justice, test anxiety, and school reliability s non-face-to-face tests of dental hygiene students.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267 dental hygiene students. The survey items included general characteristics, opinions on evaluation, the fairness of non-face-to-face tests (distributive, procedural, and interactional justice), school satisfaction, and school reliability. For statistical analysis, independent-sample t-tests, one-way ANOVA, and structural modeling analyses were performed. Results: Among factors that directly affected distributive justice and reliability towards non-face-to-face tests, the higher the interactional justice (β=0.401, p<0.001) and distributive justice (β=0.232, p=0.002) levels, the higher the school satisfaction. The higher the school satisfaction (β=0.606, p<0.001) and procedural justice (β=0.299, p<0.001) levels, the higher the perceived reliability of the school. Factors that indirectly affected school reliability included interactional justice (β=0.243, p=0.010) and distributive justice (β=0.141, p=0.010). Interactional justice (β=0.592, p=0.010) and distributive justice (β=0.208, p=0.010) were the factors affecting school satisfaction. Moreover, factors that influenced school reliability were distributive justice (β=0.56, p=0.010), interactional justice (β=0.332, p=0.010), procedural justice (β=0.229, p=0.010), and distributive justice (β=0.116, p=0.010). Conclusions: Students will trust and be satisfied with schools when schools and professors sufficiently provide information on face-to-face tests and ensure proper procedures to achieve reasonable grades as rewards for exerted time and effort. Furthermore, this study provides a reference base for developing a variety of content for fair, nonface- to-face tests, thereby allowing students to trust their schools.

한국어

연구배경: 본 연구는 치위생학과 학생들이 지각한 비대면 시험의 공정성과, 시험 불안 및 학교 신뢰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치위생학과 학생 26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조사항목은 일반적 특성과 평가에 대한 의견, 비대면시험의 공정성(분배 공정성, 절차 공정성, 상호작용 공정성), 학교 만족도, 학교 신뢰도 등으로 구성하였다. 통 계분석은 독립표본 t검정과 일원배치분산분석, 구조모형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비대면 시험에서 학교만족도와 신뢰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상호작용 공정성(β=.401, p<.001)과 분배공정성(β=.232, p=.002)이 높을수록 학교에 만족하였으며, 학교 만족도(β=.606, p<.001)와 절차공정 성(β=.299, p<.001)이 높을수록 학교를 신뢰하였다. 학교신뢰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상호작용공정성 (β=.243, p=.010), 분배공정성(β=.141, p=.010)이었다. 학교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상호작용 공정성(β=.592, p=.010), 분배 공정성(β=.208, p=.010)이며, 학교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교만족도(β=.56, p=.010), 상호 작용 공정성(β=.332, p=.010), 절차 공정성(β=.229, p=.010), 분배 공정성(β=.116, p=.010)이었다. 결론: 비대면 시험에 대한 정보를 학교 또는 교수들이 충분히 제공하며, 시간을 들여 노력했을 때 정당한 성적을 받을 수 있도록 올바른 절차로 시행해야 학교를 신뢰하고 학교에 대해 만족할 수 있다. 학생들이 학교를 신뢰할 수 있는 공정한 비대면시험을 위한 다양한 콘텐츠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목차

1. 서론
2. 연구대상 및 방법
2.1. 연구대상
2.2. 연구도구
2.3. 통계분석방법
3. 연구결과
3.1. 평가방법에 대한 의견
3.2. 일반적 특성과 비대면시험에 대한 의견에따른 분배 공정성, 절차 공정성, 상호작용 공정성, 학교 신뢰도 및 학교 만족도의 차이
3.3. 비대면시험의 공정성, 학교 만족도 및 학교 신뢰도의 관계
4. 고찰
References
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김형미 Hyeong-Mi Kim. 충청대학교 치위생과
  • 김창희 Chang-Hee Kim. 충청대학교 치위생과
  • 김정희 Jeong-Hee Kim. 유원대학교 치위생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