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고등학생의 부모-자녀관계 및 교사지지와 진로성숙도 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원문정보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child relationship, teacher support, and career maturity in high school students

정문숙, 조규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child relationship, teacher support, and career maturity in high school student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354 students from high school A in Busan and high school B in Gyeongsangnam-do were surveyed on parent-child relationship, teacher support,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The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SPSS Win 27.0 program.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arent-child relationship, teacher support,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Second, self-efficacy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career maturity. Third, self-efficacy showe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support and career maturity. This means that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not only directly affects career maturity, but also indirectly affects career maturity after affecting self-efficacy. Teacher support indirectly affects career maturity through self-efficac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teacher support, and self-efficacy are key factors in improving career maturity in high school students. To this end, the implications of active intervention in the educational field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discussed.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의 부모-자녀관계 및 교사지지와 진로성숙도 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부산광역시 소재 A 고등학교와 경상남도 소재 B 고등학교 학생 354명을 대상으로 부모-자녀관계, 교사지지,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7.0 program으로 신뢰도분석, 요인분석, 상관분석,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첫째, 부모-자녀관계, 교사지지,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자녀관계와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은 부분매개효과가 나 타났다. 셋째, 교사지지와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은 완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부모- 자녀관계는 진로성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친 후 진로성숙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교사지지는 자기효능감을 통하여 진로성숙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 향상은 부모-자녀관계, 교사지지, 자 기효능감이 핵심요인임을 알았다. 이를 위하여 교육현장의 적극적인 개입방안에 대한 시사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해 논의하였다.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용어의 정의
II. 이론적 배경
2.1 진로성숙도
2.2 부모-자녀관계
2.3 교사지지
2.4 자기효능감
2.5 부모-자녀관계, 교사지지,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 관계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3.1 연구대상
3.2 측정도구
3.3 연구문제 및 절차
3.4 분석방법
Ⅳ. 연구결과
4.1 측정도구의 신뢰성과 타당성 검정결과
4.2 부모-자녀관계, 교사지지,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 간의 관계
4.3 부모-자녀관계와 진로성숙도 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4.4 교사지지와 진로성숙도 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정문숙 Moon-sook Jung. 동아대학교 교육학과 박사과정
  • 조규판 Gyu-pan Cho. 동아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