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전기차와 내연기관차의 소비자 리뷰 비교 분석: 현대차를 대상으로

원문정보

Comparative Analysis of Consumer Reviews for Electric Vehicle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ing Text Mining : A Case Study of Hyundai-Motor Company

한은주, 천세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nvestigates Hyundai Motor's consumer reviews of edmuns.com and analyzes how consumers' needs diffe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nd electric vehicles using text mining. We divide consumer reviews into satisfaction and dissatisfaction groups based on rating scores and examine the differences of consumer requirements between two groups. Also, we derive Hyundai-Motor's strategic implications through in-depth analysis of consumers' reactions represented by eight characteristics of vehicles. This study shows that the Elantra 2012 model has the advantage in mileage and the disadvantage in seat discomfort, small cargo load and noise, while the after 2019 model has the advantage in safety compared to the Elantra 2012 model. Also, this study shows that some reviews have mentioned engine defects, seat inconvenience, which indicates that they still need improvement. Lastly, this study shows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consumer reviews between electric vehicle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because there are no words such as "vibration" and "noise" in consumer reviews of the electric cars, which appeared many times in consumer reviews of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s. The result shows that electric vehicles has advantages in mileage and seat comfort and disadvantages in software update recalls, touch screen inconvenience, and A/S. Overall, Hyundai Motor has been improving consumers' inconveniences when comparing the Elantra 2012 model and the after 2019 models, and the consumer requirements between electric vehicle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were different. A/S problems were identified as matters to be improved for electric vehicles, while engine defects and seat inconvenience ar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한국어

본 연구는 에드먼즈닷컴(edmuns.com)의 현대차 소비자 리뷰를 이용하여 내연기관차와 전기차에 대한 소비자들의 요구사항이 어떻게 다른지 텍스트마이닝을 통해 분석한다. 소비자 리뷰 평점을 기 준으로 만족 집단과 불만족 집단으로 나누어 집단 간 소비자 리뷰의 차이를 심층적으로 살펴보고, 8가지 자동차의 특성에 대한 소비자의 반응을 분석하여 현대차의 전략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 다. 소비자 리뷰 데이터는 내연기관차는 엘란트라 2012년식과 엘란트라 2019년식 이후 모델, 전기차 모델은 아이오닉-5와 EV6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2012년식 엘란트라의 경우 ‘mpg’, ‘mileage’, ‘gas’ 등의 단어가 리뷰에 자주 등장하는 것으로 보아 장점은 주행거리 대비 적은 연비로 판단되었고, 단점으로 좌석의 불편함, 적은 화물 적재량, 소음 등을 꼽을 수 있었다. 2019년식 이후 엘란트라의 경우 장점으로 안전을 들 수 있었고, 블라인드 사이드 모니터링, 차선 제어 장치, 후방 카메라 등 안전을 위한 장치가 제공되어 사용자가 편리성을 많이 거론했다. 그러나 일부 리뷰에서 엔진 결함, 좌석의 불편함을 많이 언급했고, 이는 여전히 개선 사항임을 알 수 있었다. 내연기관차 와 달리 전기차 아이오닉-5와 EV6에서는 ‘vibration’, ‘noise’라는 단어는 한 건도 나타나지 않았다. 전기차 사용자 리뷰에서 가장 많이 언급된 단어는 ‘seat’였으며, 장점으로 “좌석이 넓고 편안하다”는 내용이 많았고, 단점으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리콜 문제, 터치스크린 조작 불편, A/S 불만에 대한 내용이 많았다. 세부적으로 ‘좋은 연비’와 ‘멋진 디자인’이 많이 언급되었지만, ‘리어 윈도우 와이퍼 없음’은 불편 사항으로 제시되었다. 종합하여 현대차는 2012년식에 비해 2019년식 이후 모델에서는 소비자의 불편사항을 많이 개선하고 있었으며, 전기차와 내연기관차간의 소비자의 요구사항은 상이 했음을 알 수 있었고 전기차의 경우 AS 문제가 시급히 개선되어야 할 사항으로 파악되었다.

목차

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소비자 리뷰
2. 텍스트마이닝과 소비자 리뷰
Ⅲ. 연구 방법
1. 데이터 수집 및 소개
2. 데이터 전처리
IV. 실증 분석 결과
1. 모델별 단어 빈도분석 : 워드클라우드와 빈도그래프
2. 만족 그룹과 불만족 그룹의 비교
3. 8가지 특성별 모델별 비교분석
4. 만족 불만족 그룹별 자동차 모델의 세부 특성 비교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한은주 Han, Eun-Joo.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빅데이터AI경영정보학과 석사과정 학생
  • 천세학 Chun, Se-Hak.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빅데이터AI경영정보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