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Effects of Career Barriers That University Graduates Perceive on Employment and Wages in Korea

원문정보

대학 졸업생이 인지하는 진로장벽이 취업과 임금에 미치는 영향

Cheonsoo Park, HwaChoon Park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Young adults with tertiary education degrees in Korea have experienced severe difficulties in finding jobs and settling down in their work.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trends of career barriers that university graduates experience as one of job difficulties in the workplace and suggest ways for them to adapt themselves in jobs based on a multifaceted analysis of career barriers. To this end, career barriers they perceived were scaled numerically, and the effects of the barriers on regular employment and wage were investigated. Data were from the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GOMS2018), and the sample size was 13,596 respondents under 30 years old who graduated from four-year universities and universities of Education. To analyze the data, descriptive statistics, the logistic regression model, and maximum likelihood estimates with Heckman’s sample selection bias were performed. Types of career barrier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domains: external barriers, employment barriers, and occupational barriers.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 domain of career barriers university graduates perceived the greatest was external barriers such as lack of social support (0.168) and employment barriers the next (0.109). Occupational barriers may increase the chances of getting regular jobs, but supporting barriers lower the chances of female employment. Occupational barriers may lead to an increase in the wages of female graduates, but employment and supporting barriers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wage of female graduates.

한국어

최근 우리나라의 대졸 청년층은 취업난을 극심하게 겪고 있어, 일자리에 정착하는데 어 려움을 겪고 있다. 이 연구는 대졸 청년층의 일자리 곤란 원인으로 진로장벽 실태를 분석 하여 청년층 일자리 안정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대학 졸업자의 진 로장벽 수준을 수치로 도출하고, 이러한 진로장벽이 정규직 취업과 임금수준에 미치는 영 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은 대졸자 직업이동경로조사(GOMS2018)에서 교육대학을 포함 한 4년제 대학교를 졸업한 30세 미만(13,596명)이다. 분석을 위하여 이용한 방법은 기술통 계 분석, 로짓회귀 모형, 표본선택편이 모형 등이다. 설문에 기반하여 선호직업 정보 부족 이나 직업 미선택 등과 관련된 직업장벽, 취업계획의 부재 등과 관련된 취업장벽, 그리고 사회적인 지원 부재 등과 관련된 외부장벽으로 진로장벽의 내용을 세분화하였다. 분석 결 과, 우리나라 대학생이 직면하는 진로장벽 가운데 외부장벽 지수(0.168)가 가장 높고, 이어 서 취업장벽(0.109)도 적지 않은 편이다. 졸업 후 일자리로 이행과 관련하여 직업장벽은 정 규직 취업 가능성을 오히려 높이고 있으나, 외부장벽은 여자 졸업생을 중심으로 뚜렷하게 취업 가능성을 낮추고 있다. 취업한 일자리에서 받은 임금수준을 보면 직업장벽이 여자 졸 업생의 임금 상승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나, 취업장벽과 외부장벽은 여자 졸업생을 중심 으로 임금수준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정책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목차


<요 약>
Ⅰ. 서론
Ⅱ. 선행 연구
1. 진로장벽
2. 대학 졸업생의 취업
3. 대학 졸업생의 임금
Ⅲ. 연구 방법
1. 표본과 연구 변수
2. 분석 방법
Ⅳ. 연구 결과
1. 진로장벽 현황
2. 진로장벽이 취업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3. 진로장벽이 임금에 미치는 영향
Ⅴ. 결론과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Cheonsoo Park 박천수. Senior Research Fellow Emeritus ,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 HwaChoon Park 박화춘. Associate Research Fellow,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