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잡지 『일본부인』으로 본 전시(戰時) 재조일본 여성과 부도(婦道)

원문정보

Japanese women in Joseon and fudo as seen in the magazine Japanese Ladies

장혜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By the end of World War II, Japan had entered into a phase of all-out war and was emphasizing its duty to Japanese women in Joseon as the leader of the general mobilization order. However, before emphasizing the national role of women as imperial citizens, Japan had emphasized the need to first learn the mindset and attitude of womanly virtues and fudo (“the ways that women must abide”) through training and performance. Japanese imperialism emphasized that Japanese women living in Joseon needed to prioritize national security and interests before emphasizing family happiness and family support as wives and mothers. It was also important that women knew how to lead a family life as the main character responsible for the rearing of the war, and this particular point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magazine Japanese Ladies (Chosun edition). In addition, there was a special role given to Japanese women living in Joseon to realize these duties and roles—namely, to lead in interactions between Joseon women as friends and teachers and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war effort. The starting point of womanly virtues and fudo begins with the mother’s motherhood and is associated with the existence of Amaterasu Omikami, the founding goddess of Japan. In other words, Japanese imperialism derived a logic that the national polity of Japan stems from the mother’s motherhood; it glorified the notion that the power of women’s motherhood should be exercised in order for Japan to win the war, and at the same time, a logical device was established to lead the social role of existing Japanese women limited to the family to war. Like Musado in modern feudal society, it can be seen that a national spirit of patriotism and loyalty as modern citizens could be applied to fudo for Japanese women.

한국어

제2차 세계대전 말기, 일제는 총력전체제에 돌입하면서 재조일본 여성에게 조선에서의 총동원령의 견인자이자 총후의 주역으로서의 의무를 강조하였다. 그러나 일제는 이러한 제국주의 국민으로서의 여성의 국가적 역할을 강조하기 앞서, 부덕과 부도의 마음가짐과 자세를 먼저 수양과 수행으로 체득해야 함을 강조한다. 재조일본 여성은 부인, 어머니로서 단순히 가족의 행복과 가족의 봉양, 가문을 위한 수신제가에 그치지 않고 개인의 삶의 목적이 아닌 국가 보위와 이익을 우선시하는 수신제가는 물론, 여성의 총후 전쟁의 주역으로서 가정 생활을 어떻게 영위해야 하는지를 󰡔일본부인󰡕(조선판)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그러한 의무와 역할을 실현하는 데 재조일본 여성으로서 특별히 주어지는 역할로 조선이라는 식민지 지역 사회에서의 조선여성과 친구로서, 선생으로서 교제하면서 이들을 총후 전쟁에 참여케 할 시대의 요구가 작동되고 있다. 부덕과 부도의 출발점은 어머니의 모성에서 시작되며 일본 건국의 여신인 아마테라스오오미카미의 존재를 결부시킨다. 즉 일본 국체가 곧 어머니의 모성에서 비롯된다는 총후의 논리를 도출하면서, 전쟁에서 일본이 승리하기 위해 결국 여성인 모성의 힘이 발휘되어야 함을 미화함과 동시에 가정 내에 국한되었던 기존 일본여성의 사회적 역할을 전쟁으로 이끌어내기 위한 논리의 장치를 구축한다. 이것은 전근대 봉건사회의 무사도처럼 일본여성에게 근대 국민으로서의 보국충성의 국가정신을 ‘부도’에 적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1. 『일본부인』(조선판)에서의 재조일본인 여성의 의무
2. 총후(銃後)의 ‘부도(婦道)’
3. 『일본부인』(조선판)에서의 총후의 생활
Ⅱ.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장혜진 Jhang, Hye-jin. 가톨릭관동대학교 VERUM교양대학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