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春秋經傳集解』室町後期点의 声点에 대하여 - 鎌倉中期点과의 비교를 통해 -

원문정보

About Tone in the Late Muromachi “Chun qiu jing zhuan ji jie” - Through comparison with Kamakura Mid-term -

『춘추경전집해』실정후기점의 성점에 대하여 - 겸창중기점과의 비교를 통해 -

신지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thesis, “Chun qiu jing zhuan ji jie” marked by Kiyohara-Senken (a.k.a. Sen-ken-ten), a scholar who studied in the Late Muromachi, was selected as a research material. Among Jionchu (Kanaonchu, The fanqie, Tone marks), tone was analyzed in detail as a study subject; if necessary, it was compared with the data marked in the middle of Kamakura (a.k.a. Bun-ei-ten), which is the closest in time. The summary follows. First, the number of tone marks in the Muromachi era data increased compared to those of Kamakura. In the case of Bun-ei-ten, 9,487 tone marks are marked in 30 volumes (6,692 for only 21 volumes overlapping Sen-ken-ten), while Sen-ken-ten has 10,393 tone marks in 21 volumes, indicating that the number of tone marks has increased significantly. Second, in the low tone and the short tone, the light tone completely disappeared—changing from a six-tones system to a four-tones system. The number of tone marks in Bun-ei-ten is 9,487, of which the light tone is 173. From the late 11th century, the light tone and the heavy tone began to be confused, and in Bun-ei-ten, the distinction was in the process of disappearing. Meanwhile, the number of tone marks in the 21st volume of Sen-ken-ten is 10,393, of which none are light. In the low tone and the short tone, the distinction between the light tone and the heavy tone was completely extinguished and changed to the four-tones system. Third, the muddy-rising sounds have marked the falling sounds more than the rising sounds. In Sen-ken-ten, the muddy-rising sounds are marked as the rising sounds with 59 letters (151 cases), and the falling sounds with 65 letters (189 cases) have more. Compared to Bun-ei-ten, the proportion of the falling sounds was higher. According to Numoto-katsuaki’s classification, it corresponds to “a high proportion of the falling sounds”; thus, it was a process of changing from Kan’on in the middle to Kan’on in the new layer.

한국어

本稿에서는 室町後期에 활약한 博士家 學者 清原宣賢이 加点한 漢籍訓点資料인 『春秋經傳集解』를 연구 자료로 선정하였다. 字音注(仮名音注, 反切․同音字注, 聲点) 중 聲点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구체적으로 분석하였으며, 필요에 따라 시기적으로 가장 가까운 鎌倉中期点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다음의 사항을 지적할 수 있었다. 첫째, 鎌倉中期点(文永点)보다 室町後期点(宣賢点)에서 声点數가 증가하였다. 文永点의 경우는 전권(30卷)에 걸쳐 9487개(宣賢点과 겹치는 21卷만 대상일 경우 6692개)의 声点이 加点되어 있는 반면, 宣賢点에는 전권(21卷)에 걸쳐 10393개가 加点되어 있어 声点數가 큰 폭으로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양 자료의 前代 底本의 차이에서 기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平聲과 入聲에서 輕声이 완전히 消滅되었다. 文永点 全卷에 加点된 声点數는 9487개이며, 이 중 輕聲은 173개이다. 11세기 후반부터 混同되기 시작한 輕重의 구별이 消滅되어 가는 과정에 있었다. 한편 宣賢点 전 21卷에 加点되어 있는 声点數는 10393개이며, 이 중 輕声은 단 한 개도 없다. 平聲과 入聲에서 輕重의 구별이 완전히 消滅되었다고 할 수 있다. 셋째, 全濁上聲字는 上聲보다 去聲 加点例가 더 많다. 宣賢点에서는 全濁上聲字의 上聲 加点例가 59字(151例), 去聲 加点例가 65字(189例)로 去聲 쪽이 더 많으며, 文永点과 비교했을 때 去聲化의 비율이 더 높아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沼本克明의 분류에 따르면 “去聲化 비율이 높은 것”에 해당하며, 中層의 漢音에서 新層의 漢音으로 移行되는 과정이었다고 할 수 있다.

목차

【국문초록】
Ⅰ. 序論
1. 연구 자료
2. 연구 목적 및 방법
Ⅱ. 本論
1. 漢音 聲調의 特徵
2. 宣賢点의 声点 加点 樣相
3. 宣賢点 声点의 特徵
Ⅲ. 結論
【참고문헌】

저자정보

  • 신지연 Shin, Ji-youn. 동국대학교 일본학과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