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Since the enactment of the ‘Act on Public Sector Audit’, there have been many prior researches for the improvement of internal audit. Most of researches have studied mainl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valuator(or supplier) who is in charge of the design and operation of the ESIAA(Evaluation System of Internal Audit Activities). However, there have not been any significant research looking at the evaluatee’s point of view. Therefore, in this study, not only the evaluator’s point of view, but also the point of view of the evaluatee who is actually undergoing internal audit evaluation is considered with equal weight. Based on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different perceptions of both sides, this study shows how the evaluation of internal audit activities affects the improvement of the overall audit capability of internal audit activities for central administrative agenc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useful policy implications in making a customer-oriented evaluation that reflects the perspective of the evaluatee of the ESIAA. The most important contribution of this study, using the Grounded Theory, is to identify the substantive differences between experts and field officials about ESIAA from the point of view of policy evaluation theories. In particular, evaluatee recognize the relevant problems caused by ESIAA as the series of ‘the phenomena of empowerment of evaluation’, ‘evaluation for evaluation itself’ Thus, in order to improve the evaluation system of Internal Audit Activities, narrowing the gap between experts and field officials’ perceptions of the evaluation system would be the most important and urgent task. Another contribution of the study is to suggest specific suggestions for institutional improvement of the evaluation standards or indicators of the Internal Audit evaluation system to enhance the internal audit capability of central administrative agencies.
한국어
본 연구는 감사원의 중앙행정기관 자체감사활동 심사가 중앙행정기관 자체감사활동 역량제고 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심사자 측 시각뿐만 아니라 피심사자 측의 시각도 함께 고려 하여 양 그룹의 인식을 상호 비교분석함으로써 유용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심사자 측 전문가 그룹과 피 심사자측 중앙행정기관 자체감사인력 그룹을 대 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여 질적 연구방법의 일종인 근거이론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자체감사활동 심사제도의 당초 목적 및 취지와는 달리 전문가 그룹과 자체감사인력 그룹 간에는 각각의 입장과 시각에 따라 인식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심사제도를 설계․ 운용하는 전문가 입장에서는 심사제도가 자체감사의 역량제고를 위해 마련된 제도라고 인식하고 있지만, 심사를 받는 자체감사인력 그룹은 애초 평가 취지와 다르게 실제로는 관리․통제수단으 로 평가가 더 활용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 해결에 있어서는 ‘정책평가결과 활용 확대 및 평가관련자들의 심사제도에 대한 긍정적 인식강화’가 필요하며 이를 통해 중앙행정기관 자체감사기구 뿐만 아니라 국가전체의 감사역량 강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1. 자체감사의 의의
2. 자체감사활동 심사 관련 선행연구 검토
3. 자체감사활동 심사제도
Ⅲ. 연구방법
1. 방법론적 논의
2. 분석방법: 근거이론(Grounded Theory)
3. 주요 연구과정
4. 근거이론에 입각한 자료 분석 과정: 코딩과 패러다임 모형
Ⅳ. 분석결과
1. 중심현상: 자체감사 역량제고
2. 인과적 조건: 자체감사활동 평가ㆍ인식
3. 맥락적 조건: 심사제도의 목적, 심사의 필요성
4. 중재적 조건: 심사제도의 이해
5. 작용/상호작용: 심사대상군(群), 심사기준, 심사진행, 심사태도
6. 결과: 심사결과, 환류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