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oday, teachers are required to play a new role suitable for the new age, and the professional community is emerging as a key for enhancing teachers' collective expertise. This study sought to confirm the effect of the core elements of the professional community on the improvement of teachers’ teaching and learning efficacy. For this purpose, a two-level hierarchical linear model was analyzed for 3,463 teachers who responded to the teacher questionnaire in the 9th wave data from the 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GEPS). As a result of the study, even after controlling the school level differences, cooperation among teachers, a key characteristic of the professional community,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enhancing teachers’ teaching and learning efficacy. The effects of distributed leadership, such as principal leadership and teacher leadership, were not significant, suggesting that the core elements of the professional community, a, such as cooperation and trust, cannot be seen in all schools, and that teaching and learning efficacy can be improved based on current school satisfaction. These findings are meaningful in that highlighted the professional community as a starting point to discover the potential of individual students, emphasize the role of teachers as subjects that will bring innovation to schools and education, and enhance teachers' collective expertise.
한국어
오늘날 교사에게는 새로운 시대에 걸맞은 새로운 역할이 요구되며 교사의 집단적 전문성을 신장할 중추로 교사 공동체가 부상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교사 공동체의 핵심 요소가 교사의 교수학습 효능감 신장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경기교육종단연구 9 차년도(2020년) 교사 설문지에 응답한 교사 3,463명을 대상으로 2수준 위계적 선형 모형 분석 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학교 수준의 차이를 통제한 이후에도 교사 공동체의 핵심 요소인 동료 교사 간 협력이 교사의 교수학습 효능감 신장에 유의한 정적 효과를 발휘하였다. 학교 장 지도성과 교사 주도성 등 분산된 지도성의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는데, 이는 협력과 신뢰 등 교사 공동체의 핵심 요소가 모든 학교에 나타난다고 볼 수 없고 교사 공동체 구성 요소가 엄밀하게 자리 잡지 못한 학교에서는 현 학교 만족도를 바탕으로 교수학습 효능감 신장이 이 루어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개별 학생의 잠재력을 발견하고 학교와 교 육에 혁신을 가져올 주체로 교사의 역할을 강조하고 교사의 집단적 전문성을 신장할 단초로 써 교사 공동체를 조명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교사 공동체
2. 교사 공동체 구성 요소
3. 교사 공동체와 교사 전문성 신장
Ⅲ. 연구 방법
1. 데이터 및 표본
2. 변인 설정
3. 분석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