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A Research Premised on the Educational Process of Visual Design Universities in Korea and China - Focusing on S University in Korea and T University in China -

원문정보

한·중 시각디자인 대학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 - 한국S대학교와 중국T대학교를 중심으로 -

왕레이, 김민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s the digital age rapidly advances and concepts like the metaverse gain momentum, the field of visual design is encountering new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innovation and improvement of curriculum design and system construction in visual design education, specifically in the context of the mobile internet era and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Tsinghua University are selected as the research subjects. An analysis model is develop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differences in curriculum setting for visual design major between the two institutions. Building upon previous research, a systematic research approach involving in-depth interviews is employed to better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of visual design education in different cultural contexts. Finally, corresponding recommendations and promotion strategies are proposed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reveals that Seoul National University emphasizes an interest-driven teaching approach, suggesting the inclusion of compulsory subjects and practical opportunities to enhance cross-cultural and global education. On the other hand, Tsinghua University focuses more on market-adaptive courses and a solid foundation, recommending the addition of courses in general education and elective subjects to strengthen digital, cross-cultural, and international education. It is hoped that this research will provide valuable contributions to promoting the progress and adaptation of visual design education to future trends.

한국어

디지털 시대의 급속한 발전과 메타버스와 같은 개념의 등장으로 시각 디자인 산업은 새로운 도전과 기회에 직면하였다. 본 연구가 시각디자인 교육 발전과 개선에 참고자료로 남아있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대와 칭화대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시각디자인 전공과정에 두 대학이 설정한 차이점을 비교분석하는 분석모델을 개발하였다. 선행 연구를 기반으로 인터뷰를 위한 체계적인 연구 방법을 디자인하여, 다양한 문화 맥락에서 시각 디자인 교육의 특성과 차이점을 더 잘 이해하고, 마지막으로 해당 제안 및 홍보 방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대학교가 흥미지향적 교수방식에 중점을 두고 필수과목과 실무기회를 늘리고 다문화와 글로벌 교육을 강화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청화대는 시장 적응 과정과 기초 강화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으며, 일반 과목과 선택 과목을 늘리고 디지털화, 다문화 및 국제화 교육을 강화할 것을 제창하고 있다. 본 연구가 시각디자인 교육을 시대에 발맞춰 추진하고 미래 발전 추세에 적응하는 데 유익한 기여를 할 수 있기를 바라는 바이다.

목차

초록
Abstract
1. Introduction
1.1. Research Background and Objectives
1.2. Research Scope and Methods
2. Theoretical Background
2.1. History and Background of Visual Design Major
2.2. Visual Design Education
2.3. Educational Objectives
3. Research Subjects and Analysis
3.1.Research Subjects
3.2 Analysis of research objects
4. Analysis of Undergraduate Courses in Visual Design
4.1 Analysis of educational objectives
4.2 Analysis of Curriculum Setup
4.3 Analysis of Graduation Requirements
4.4 In-depth Interviews (FGI)
5. Conclusion
References

저자정보

  • 왕레이 WANG LEI.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과
  • 김민재 Kimm MinJae. 알렉시스리얼리티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