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생활 스포츠편 : 자연과학영역

대학생의 스포츠활동 참여에 따른 신체구성과 기초체력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Physical Composition and Basic Physical Fitness according to the Participation of University Students in Sports Activities

김준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t a university where students wanted to measure body composition (height, weight, body fat ratio) and basic physical strength (lung capacity, muscle strength, muscle endurance, flexibility, agility, and explosive muscle strength).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one-way ANOVA. The results of a comparative analysis of university students at A University in Gyeonggi-do are as follows. Body composition (height, weight, and body fat rate) all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P>.05).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asic physical strength (lung capacity, muscle strength, muscle endurance, agility, and explosive muscle strength) (P>.05).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lexibility measurement. The highest measured body composition and basic physical strength were students from the College of Arts and Physical Education, and students from the College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showed the smallest physique and physical strength, and were also found to be weak. In conclusion, exercise prescription programming suitable for each user's body should be performed in consideration of the body composition of various elements and the basic physical strength of the study.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이 신체 구성(키, 몸무게, 체지방 비율)과 기초체력(폐 용량, 근력, 근지구력, 유연성, 민첩 성, 폭발적인 근력)을 측정하고자 하는 대학에 있었습니다. 데이터는 기술 통계량과 일원 분산 분석을 사용하여 분석되었 습니다. 경기도에 소재한 A대학교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신체 구성(키, 몸무게, 체지방 률)이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P>.05). 기초체력(폐활량, 근력, 근지구력, 민첩성, 폭발적 근력)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05). 그러나 유연성 측정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다고 나타났다. 가장 높게 측정된 신체 구성과 기초 체력은 예체능대학 학생들이었으며, 인문사회대학 학생들이 가장 작은 체격과 체력을 보여주었으며, 또한 연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다양한 요소의 신체 구성과 연구의 기초체력을 고려하여 각 사용자의 신체에 맞는 운동 처방 프로 그래밍을 수행해야 한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도구
3. 자료 분석
Ⅲ. 결과
1. 전공계열별 신체구성의 차이
2. 전공계열별 기초체력의 차이
3. 우리나라 20대 평균과 A대학교 학생의 신체구성 및 기초체력 차이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준석 Kim, Jun Seok. 중부대학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