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nfirm the efficiency of public sports facilities using Data Enclosure Analysis (DEA) and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fficiency of public sports facilities and the level of physical activity.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2020 public facility operation data (public facilities managed and operated by local governments) and community health survey data provided by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Facility area, management personnel, and operating cost were selected as input variables for DEA, and calculation variables were selected as the number of users and operating income. Obesity was finally adopted as a variable that can prove the level of physical activity in order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fficiency of public sports facilities and the level of physical activity. The main conclusions from the derived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hen evaluating the efficiency of public sports facilities by city and province through data inclusion analysis, Gwangju Metropolitan City, Seoul Metropolitan City, Busan Metropolitan City, and Ulsan Metropolitan City show excellent efficiency in the order. Second, Gwangju Metropolitan City is an excellent benchmarking local government that receives 12 references from other cities. Third, when a comprehensive evaluation is conducted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fficiency ranking and the physical activity ranking by DEA, the lower the efficiency of public sports facilities, the higher the obesity rate in the region.
한국어
이 연구는 자료포락분석(DEA)을 활용하여 공공체육시설에 대한 효율성을 확인하고 공공체육시설의 효율성과 신체활동 수준과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계되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지방재정 365에서 공개하 고 있는 2020 공공시설운영현황(지방자치단체가 관리·운영하는 공공시설물) 데이터와 질병관리청에서 제공하는 지 역사회건강조사 데이터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자료포락분석을 하기위한 투입변인은 시설면적, 관리인력, 운영비 용을 선정하였으며, 산출변인은 이용인원, 운영수익으로 선정하였다. 공공체육시설의 효율성과 신체활동 수준과의 관계 를 검증하기 위해 신체활동 수준을 증명할 수 있는 변인으로 비만을 최종 채택하였다. 도출된 연구결과를 통한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료포락분석을 통해 시·도별 공공체육시설의 효율성을 평가할 때 광주광역시, 서울특별시, 부산광 역시, 울산광역시의 순서로 우수한 효율성을 나타내고 있다. 둘째, 광주광역시는 타 시·도로부터 12회의 참조를 받는 우수한 벤치마킹 지자체이다. 셋째, 자료포락분석에 의한 효율성 순위와 신체활동 순위의 관계를 기반으로 종합적인 평가 를 할 때 공공체육시설의 효율성이 낮을수록 해당 지역의 비만율이 높아진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Ⅱ. 연구방법
1. 연구 대상
2. 자료포락분석의 적용
3. 자료처리방법
Ⅲ. 연구결과 및 논의
1. 시·도별 공공체육시설 환경 현황
2. 시·도별 공공체육시설의 효율성 분석
3. 공공체육시설의 효율성과 신체활동 수준과의 관계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