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생활 스포츠편 : 인문사회과학영역

건강행동과정접근(HAPA)모델을 이용한 중국 대도시 대학생의 신체활동참여과정 검증

원문정보

Verification of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Process of College Students in Chinese Metropol Is Using Health Action Process Approach (HAPA) Model

이원휘, 황향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d the process of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using the HAPA model to provide a basis for proposing measures to promote physical activity among Chinese university students. The study population is physical activity participants among four-year university students in a first-tier city in China. The questionnaire was collected online by China Questionnaire (https://www.wjx.cn). The final analyses were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using SPSS 26.0 and AMOS 28.0 programs with a total of 406 copies. The conclusions drawn are as follows. First, Action self -efficacy and outcome expectancy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intention to engage in physical activity, but not risk perception. Action self -efficacy also had a positive effect on maintenance self-efficacy. Next, intention to engage in physical activity and maintenance self-efficacy were found to positively influence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plans, and maintenance self-efficacy was found to positively influence recovery self-efficacy. Finally, Recovery self-efficacy and plans to engage in physical activity positively influenced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behaviour.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recommended that physical activity planning behavioural strategies be developed for Chinese university students who have difficulty initiating and sustaining physical activity. Furthermore, it is expected that the HAPA model can be widely applied to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behaviour.

한국어

본 연구는 중국 대학생의 신체활동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HAPA 모델을 이용하 여 신체활동참여과정을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중국 1선도시 소재 4년제 대학생 중 신체활동 참여자이다. 조사방법은 중국 问卷星(https://www.wjx.cn)에 의뢰하여 온라인으로 수집하였다. 최종분석은 총 406부로 SPSS 26.0과 AMOS 2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 분석, 신뢰도 분석, 확인적 요인 분석, 구조 방정식 분석이다.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행동자기효능감과 결과기대는 신체활동참여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위험인지는 영향 을 미치지 않았다. 행동자기효능감은 유지자기효능감에도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다음으로 신체활동참여의도와 유 지자기효능감은 신체활동참여계획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지자기효능감은 회복자기효능감 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회복자기효능감과 신체활동 참여계획은 신체활동참여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신체활동 시작단계와 지속하기 어려운 중국 대학생 을 위한 신체활동 계획행동전략 수립을 모색해야 한다. 또한 신체활동참여행동을 위한 HAPA모델의 광범위한 적용을 기대해 본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Ⅱ. 연구방법
1. 연구 대상
2. 조사 도구
3. 조사 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
4. 자료처리방법
Ⅲ. 결과
1. 변인 간 상관관계
2. 연구모형의 적합도
3. 가설검증
Ⅳ. 논의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원휘 Li, Yuan-Hui. 강원대학교, 박사수료
  • 황향희 Hwang, Hyang-Hee. 강원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