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생활 스포츠편 : 인문사회과학영역

MZ세대가 스포츠산업에 미치는 영향력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MZ Generation on the Sports Industry

이재문, 장용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MZ generation on the sports industry through big data analysis. To this end, text mining, tf-idf, connection centrality, semantic network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ocial big data analysis program Textom and social network analysis Ucinet6. The study period was limited from January 1, 2020 to December 31, 2022. Pop-up store, experience, eco-friendly, professional sports, professional baseball, athleisure look, metaverse, Avley, and platforms were extracted from the MZ generation and sports industry. Second, unique collaborations, running crew, The Hyundai Department Store, beverage brands, and sports brands were extracted from the MZ generation and sports marketing. Third, E-Sports, events, League of Legends, banking and finance, communication, potential future customers, sponsors, and insurance were extracted from the MZ generation and E-Sports. Fourth, fashion, Nike, Umbro, Fila, and luxury goods were extracted from the MZ generation and sportswear brands. Fifth, COVID-19, popularity, noble sports, leisure sports, and lifestyle were extracted from the MZ generation and golf. Therefore, it is hop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serve as basic data for the establishment of marketing strategies to target the MZ generation and development plans for the sports industry.

한국어

본 연구는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MZ세대가 스포츠산업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소셜 빅데 이터 분석 프로그램 텍스톰과 사회연결망 분석 Ucinet6를 활용하여 텍스트마이닝, TF-IDF, 연결중심성, 의미연결망분 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기간은 2020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한정하였다. 분석 결과, MZ세대와 스포츠 산업에서 팝업스토어, 경험, 친환경, 프로스포츠, 프로야구, 애슬레저룩, 메타버스, 에이블리, 플랫폼 등이 추출되었다. 둘째, MZ세대와 스포츠마케팅에서 이색콜라보, 러닝크루, 더현대백화점, 음료브랜드, 스포츠브랜드 등이 추출되었다. 셋째, MZ세대와 E-Sports에서 E-Sports, 이벤트, 리그오브레전드, 은행및금융업, 소통, 미래잠재고객, 스폰서, 보험 업 등이 추출되었다. 넷째, MZ세대와 스포츠웨어브랜드에서 패션, 나이키, 엄브로, 휠라, 명품 등이 추출되었다. 다섯째, MZ세대와 골프에서 COVID-19, 인기, 귀족스포츠, 레저스포츠, 라이프스타일 등이 추출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 가 MZ세대를 공략하기 위한 마케팅 전략 수립 및 스포츠산업 발전 방안을 위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조사도구
3. 자료처리
Ⅲ. 결과
1. 단어 빈도, TF-IDF, 연결중심성 결과
2. 의미연결망분석
Ⅳ. 논의
1. MZ세대와 스포츠산업
2. MZ세대와 스포츠마케팅
3. MZ세대와 E-Sports
4. MZ세대와 스포츠웨어브랜드
5. MZ세대와 골프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재문 Lee, Jae-Moon. 경희대학교, 강사
  • 장용석 Jang, Young-Seok. 강원대학교,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