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Effects of Physical Environment of Korean Dessert Cafe on Word-of-Mouth and Revisit Intention
초록
영어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physical environment of Korean dessert cafes on word of mouth and revisit intention. In addition, it was intended to be used as a basis for identifying the exact needs of customers using Korean dessert cafes, providing basic marketing strategy information, and suggesting useful measures for direct sales increase and efficient management strategies when specializing customer service. A survey was conducted focusing on consumers in their 20s to 50s or older in Seoul and Gyeonggi-do, who had experience using Korean dessert shops within the last 6 months.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analyzed to verify the hypothe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is study, among the sub-factors that make up the physical environment of Korean dessert cafes, it was found that aesthetics, space, and comfort had a positive(+) effect on word of mouth, but convenience had not effect on word of mouth. Second, it was found that word of mouth had a positive(+) effect on revisit intention. Third, among the sub-factors composing the physical environment of Korean dessert cafes, comfort and aesthetic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revisit intention, but convenience and space had no effect ont revisit intention. Satisfaction with the physical environment felt at a Korean dessert cafe suggests that word of mouth intention (positive word of mouth) can be linked to revisit.
한국어
본 연구는 한식 디저트 카페의 물리적 환경이 구전과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한식 디저트 카페 이용고 객들의 정확한 욕구 파악과 마케팅 전략 기초정보를 제공하고, 고객 서비스를 전문화시킬 때 직접적인 매출 증대와 효율적인 경영전략에 유용한 방안을 제시하는 근거로 사용하고자 하였다. 최근 6개월 이내에 한식 디저트 전문점을 이용해 본 경험이 있는 서울, 경기 지역의 20〜50대 이상의 소비자를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자료처리는 SPSS WIN Version 25.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타당성 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회귀분석를 분석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결과, 한식 디저트 카페의 물리적 환경을 구성하는 하위요인 중 심미성, 공간성, 쾌적성 순으로 구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편의성은 구전에 미치는 영향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구전은 재방문 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식 디저트 카페의 물리적 환경을 구성하는 하위요인 중 쾌적성, 심미성 순으로 재방문 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편의성과 공간성은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식 디저트 카페에서 느끼는 물리적 환경에 대한 만족은 구전의도(긍정적 구전)의 재방문으로 연결될 수 있음을 시사해 주고 있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2.1 한식 디저트 카페의 물리적 환경
2.2 구전
2.3 재방문 의도
Ⅲ. 연구설계
3.1 연구모형 및 가설설정
3.2 조작적 정의 및 설문지 구성
Ⅳ. 실증분석
4.1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이용 특성
4.2 타당성과 신뢰도 분석
4.3 상관분석
4.4 가설의 검증
Ⅴ. 결론
참고문헌
국문 초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