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코로나시대 재택근무여부에 따른 신입직원 특성 및 직장ㆍ직무 인식 비교

원문정보

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of new employees and perceptions of work and job according to work from home status in Corona era

한애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new employees according to work from home status in the Corona era, and to verify the differences with variables related to job satisfaction and job level.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data from 2,257 people with less than 2 years of work at the current job who responded to the 14th data of the Youth Panel survey(2020) conducted by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relatively women, in their 30s, working in private or foreign companies in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dustry, as regular workers, had a high proportion of telecommuting. And people working more than 6 months, and taking longer commuting hours participate in telecommuting.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in work content, work autonomy and authority, pursuit of self-development, work hours (length), and work-family balance according to work from home status. Third, there was a difference in self-evaluation and job level perceived by new employees according to work from home status. Based on these results, we proposed a new work system introduction and support plan that can increase employee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while improving work efficiency in a corporate environment in the period of endemic and digital transformation.

한국어

본 연구는 코로나시대 재택근무여부에 따른 신입직원 특성을 살펴보고, 직장만족과 직무수준 관련 변 인들과 차이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한국고용정보원(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에서 실시한 청년패널조사(Youth Panel) 14차데이터(2020)에 응답한 현 직장근무기간이 2년 미만인 2,257명의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대적으로 여성, 30대, 정규직 으로 민간회사 또는 외국인회사 근무하고, 정보통신업에서 재택근무 비중이 높았으며, 근로기간이 6개월 이상이고, 출퇴근시간이 길수록 재택근무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재택근무여부에 따라 신입직원이 인식한 업무내용, 일의 자율성과 권한, 자기발전의 추구, 업무시간(길이), 일과 가정 양립에 차이가 있었다. 셋째, 재택근무여부에 따라 신입직원이 인식한 자기평가와 직무수준에 차이가 있었다. 이 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엔데믹과 디지털 전환기에 있는 기업환경에서 업무효율을 높이면서 직원들의 만족 도와 성과를 높일 수 있는 새로운 근무체계도입과 지원방안을 제안하였다.

목차

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코로나시대 신입직원의 특성
2. 재택근무 관련 선행연구
Ⅲ.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 도구
3. 분석 방법
Ⅳ. 연구 결과
1. 신입직원 특성
2. 신입직원 직장직무 인식 비교
3. 전체 근로자 직장직무 인식 비교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한애리 Ae-Ri, Han. 한국직업능력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