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1인 가구 시대, 지역사회통합돌봄을 위한 중간집 활용가능성 연구 : 부산 사하구 케어안심주택 사례를 통해

원문정보

A Study on the Availability of Halfway House for Community Care in the Era of One-Person Households : Through Care Assurance Housing in Saha-gu, Busan

손지현, 김정석, 김일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presupposes the importance of community care in an era when one-person households are increas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direction and possibility of the Care Assurance Housing project through the case of ‘Halfway House in Saha-gu, Busan’. Through theoretical discussion, characteristics of single-person households were summarized as ‘relationship vulnerability’. The place where they lived was ‘a space where self-direction rather than isolation’ and the local community was a ‘connection with informal support’. Results of analyzing the case of middle houses in Saha-gu by dividing them into service entry, service progress, and service result are as follows. In service entry, it was confirmed that flexible standards were applied to users with possible connection with relatively diverse excavation. In service progress, characteristics of services were centered on relationships. Relationships with various local residents were secured in service results. The possibility of independence and various resident relations was revealed. How to apply these research results to other regions is discussed. Lastly, the direction of the community care project and the need for support for various forms of community care are suggested.

한국어

본 연구는 1인 가구가 증가하고 있는 시대에서 지역사회통합돌봄의 중요성을 전제하고, ‘부산 사하구 중 간집’사례를 통해 케어안심주택 사업의 방향성과 가능성을 밝히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한 이론적 논의를 통해 1인 가구의 특성을 ‘관계의 취약성’으로, 살던 곳은 ‘고립이 아닌 자기주도성이 나타나는 공간’으로, 지역사회는 ‘비공식적 지원과의 연계’로 정리하였다. 서비스 진입, 서비스 진행, 서비스 결과로 구분하여 사하구 중간집 사례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서비스 진입에서 이용자에 대한 유연한 기준 적용과 상대적으로 다양한 발굴체계의 연계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서비스 진행에서는 공간이 아닌 관계를 중심으로 한 서비스의 특성을, 서비스 결과에서는 다양한 지역주민과 관계성을 확보한 자립과 다양 한 주민관계가 나타날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다른 지역에 적용하기 위해 필요한 추가적 인 논의사항을 정리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지역사회통합돌봄 사업(케어안심주택) 수행 방향성에 대한 재검 토와 다양한 형태의 지역사회통합돌봄 방식에 대한 지원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
1. 한국의 돌봄 특성과 돌봄환경 변화의 이해 : 1인 가구
2. 지역사회통합돌봄에서 살던 곳과 지역사회의 의미
3. 1인 가구 특성에 따른 살던 곳과 지역사회 적용 검토
Ⅲ. 연구 내용 및 방법
1. 사례 이해를 위한 주요 내용 : 중간집(Halfway House)과 사하구 케어안심주택
2. 연구 방법
3. 연구 대상 사업 주체와 사업 수행 지역 : 부산 사하구 감천2동(감천마을)
Ⅳ. 연구 결과
1. 서비스 진입 : 이용자 특성과 발굴체계
2. 서비스 진행 : 투입 자원과 투입 활동
3. 서비스 결과 : 이용자와 지역사회
4. 1인 가구 시대 지역사회통합돌봄에서 중간집의 역할 가능성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손지현 Son, Ji-Hyeon. 신라대학교 상담심리복지학과 조교수
  • 김정석 Kim, Choeng-Seok. 동국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 김일호 Kim, Il-Ho. 동국대학교 인구와사회협동연구소 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