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청소년회복센터 보호소년의 개인적・환경적 비행 요인 분석

원문정보

Analysis of Pers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of Juvenile Delinquency at the Youth Recovery Center

김동영, 이수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ccording to this risk assessment tool, this study produced an interview framework for teenagers living in the Youth Recovery Center and examined pers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Afterward, Mplus7 latent class layer analysis(LCA) is used to identify groups that are more likely to partake in delinquent behaviors and to estimate the factors that accelerate certain groups to delinquent behaviors. The research shows that adolescent families’ difficulties were most closely contributed to delinquency behavior. Furthermore, dropping out of school is another major factor that triggers adolescent delinquency. This study suggests delinquent behavior can be triggered by teenagers' environmental circumstances. Therefore, a need for attention and care was proposed along with the formation of attachment relationships in environments, such as homes and schools for these teenagers.

한국어

본 연구는 청소년회복센터에 거주하는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하여 비행촉발요인조 사서를 기반으로 면담 틀을 제작하고 그들의 개인적・환경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이 후, Mplus7 잠재계층분석(LCA)을 통해 비행 행동에 더 취약한 집단을 파악하고 이를 가속하는 요인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청소년들의 가정 결손이 비행 행동 과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학업 중단이 청소년들의 비행을 촉발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청소년들이 처해있는 환경적 상황에 따 라 비행 행동이 촉발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보호 소년들의 가정과 학교 등 환경적 요인에서 애착관계의 형성과 더불어 관심과 돌봄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청소년 비행 이론
2. 비행청소년에 관한 선행 연구
3. 청소년회복센터에 관한 선행연구
4. 개인적 요인
6. 환경적 요인
Ⅲ. 연구목적
Ⅳ.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절차
3. 연구가설
4. 측정 도구
5. 분석방법
V. 연구 결과
1. 인구사회학적 통계
2. 변수에 따른 집단 간 차이
3.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Ⅵ.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동영 Dong Young Kim. 경기대학교 범죄심리학과 석사과정
  • 이수정 Soo Jung Lee. 경기대학교 범죄심리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