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작업치료사의 두려움과 직무스트레스 및 자기효능감에 대한 연구 - 코로나19 상황에서 -

원문정보

A Study on Occupational Therapy's Fear, Job Stress, and Self-Effectiveness - In the Situation of COVID-19 -

위민규, 강미영, 홍민경, 장기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find the influence of work therapy in COVID-19 situation and self-efficacy in COVID-19 situations and self-efficacy. Methods: On June 1, 2022 was conducted a survey related to COVID-19 related to COVID-19 related to COVID-19 related fear and mental health.Among the total 240 parts of the total 240 parts of the total 240 parts except contamination and leakage. Results: First, occupational therapists' fears related to COVID-19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final education, number of treatments, work fields, and whether or not to implement quarantine at their institutions. Second, job stress was significant depending on the final education, working institution, and work field. Third, self-efficac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der, age, marriage, position, working area, employment type, final education, working institution, clinical career, number of treatments, and work areas. Fourth, the fear of COVID-19 related to COVID-19 related to the job stress, and the same time of the subjects of the target's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Fifth, the fear of COVID-19 related to COVID-19 related to self-efficacy, clinical trials, clinical trials, clinical trials, clinical trials, clinical trials, clinical trials, clinical trials, clinical trials, treatment, treatment, treatment, treatment Conclusion: As a result of research, the fear related to COVID-19 related to COVID-19.Therefore, I would like to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and job guide lines for the mental health of work treatment companies such as COVID-19 in the future.

한국어

목적 : 본 연구는 코로나19 상황에서 작업치료사가 느끼는 두려움이 직무스트레스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 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2022년 6월 1일~8월 1일 동안 전국에서 근무하는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코로나19 관련 두려움 및 정신건강과 관련된 직무스트레스, 자기효능감에 관련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총 240부의 설문지 중 오염 및 누락을 제외한 최종 234부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 : 첫쩨, 작업치료사의 코로나19 관련 두려움은 최종학력, 치료인원, 업무분야, 소속기관의 방역 시행 여부에 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직무스트레스는 최종학력, 근무기관, 업무분야에 따라 유의하게 나타났다. 셋째, 자기효능감은 성별, 나이, 결혼, 직위, 근무지역, 고용형태, 최종학력, 근무기관, 임상경력, 치료인원 및 업무분야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작업치료사의 코로나19 관련 두려움은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쳤고, 동시에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중 근무지역과 업무분야가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작업치 료사의 코로나19 관련 두려움은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쳤고,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근무기관, 임상경력, 치료인원, 근무지역이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쳤다. 결론 : 연구결과, 코로나19 관련 두려움은 직무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코로나19와 같은 감염병 상황에서 작업치료사의 정신건강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및 직무 가이드라인을 개발할 것을 제언하고자 한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 도구
3. 연구 과정
4. 자료분석
Ⅲ. 연구 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코로나19 관련 두려움, 직무스트레스, 자기효능감
3. 대상자의 코로나19 관련 두려움, 직무스트레스, 자기효능감 간의 상관관계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코로나19 관련 두려움이 직무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에미치는 영향
Ⅳ. 고찰
Ⅴ. 결론
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위민규 We, Min-Gyu. 비에스의료재단 브레인재활요양병원 작업치료사
  • 강미영 Gang, Mi-Yeong. 우송대학교 보건복지대학 작업치료학과 조교수
  • 홍민경 Hong, Min-Kyung. 우송대학교 보건복지대학 작업치료학과 초빙교수
  • 장기연 Chang, Ki-Yeong. 우송대학교 보건복지대학 작업치료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