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본의 제1회 국세조사 홍보와 자각하는 ‘근대’

원문정보

Promoting Japan’s first census and self-aware “Modernity”

김경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fter the Sino-Japanese War of 1894, Japan completed the new territories of Imperial Japan through cessions, annexations, concessions, and commissioned rule. This led to the need for a national census to clearly define the scope of the country, efficient governance, and changes in industrial structure due to the development of capitalism. The first national census was held on October 1, 1920, from 0:00 a.m. to 8:00 a.m., and was a national social survey in which the entire population participated, confirming the nationality of modern Japan as “one nation” and the scope of its people. The Temporary National Tax Survey Secretariat conducted various publicity campaigns to elicit correct responses to the modern survey items, and in the process, the public became aware of “modernity.” The publicity was multi-layered: first, visual, auditory, written, and practical activities. Visuals included commemorative picture postcards, stamps, stamps, and gazettes; auditory included various forms of song repetition; and text included slogans, magazines, and newspapers. Finally, the field was used to conduct activities such as exchange meetings, plays, lectures, and exhibition visits. The content of the publicity was the awareness and practice of “modern” concepts of colonial territory, solar time, and the individual. First, the territory of the empire was constantly exposed to visual media with maps painted in different colors; second, the modern time of 0:00 a.m. to 8:00 a.m. on the solar calendar utilized metaphors such as calendars, clocks, owls, and chickens. Third, the new hierarchy of industrial development taught the modern symbols of the people (nationality and civil distinction) and the “individual” from the collective “family” of the early modern period. As a result, the first national census, which used statistics from the prefectural census, served as an enduring propaganda for the idea of imperial Japan’s “first nation” as a basis for understanding the modern state and its people.

한국어

1894년 중일 전쟁 이후 일본은 병합, 합병, 조계, 위임 통치를 통해 제국 일본의 새로운 영토를 완성했다. 이로 인해 국가의 범위를 명확히 고지하고 그에 따른 효율적인 통치, 자본주의의 발달로 인한 산업 구조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국세조사의 필요성이 높아졌다. 제1회 국세조사는 1920년 10월 1일 오전 0시부터 오전 8시까지 실시되었으며, 전 국민이 참여하는 전국적인 사회조사로 근대 일본의 ‘일국(一國)’이라는 국가성과 국민의 범위를 확인했다. 임시국세조사사무국은 근대적인 조사 항목에 대한 국민들의 정확한 응답을 위해 다양한 홍보 캠페인을 실시했으며, 그 과정에서 국민들은 ‘근대’를 자각하게 되었다. 홍보는 시각, 청각, 문자, 실천적 활동 등 다각도로 이루어졌다. 시각은 기념그림엽서, 우표, 스탬프, 관보(官報)의 광고, 청각은 다양한 형태의 노래 반복, 문자는 슬로건, 잡지, 전단, 신문 등이 포함되었다. 마지막으로 현장에서는 환등회(幻燈会), 연극, 강연회, 전시 관람 등의 활동을 전개했다. 홍보 내용은 제국이 가져야 할 식민지라는 영토, 태양력 기준의 ‘시간’, 개인에 대한 근대적 관념에 대한 인식과 실천이었다. 구체적으로는 첫째, 제국의 영토는 다양한 색으로 칠해진 지도를 시각 매체에 지속적으로 노출했고, 둘째, 태양력의 오전 0시부터 오전 8시까지라는 근대적 시간은 달력, 시계, 부엉이, 닭과 같은 메타포를 활용했다. 셋째, 산업 발전의 새로운 계층 구조는 국민(국적(國籍)과 민적(民籍) 구분) 그리고 근세의 집단적 ‘가족’ 범위와 구분되는 ‘개인’이라는 근대성을 가르쳤다. 그 결과, 제1회 국세조사는 근대국가와 국민을 이해하는 단초로서 제국 일본의 ‘일국’이라는 관념을 지속하는 중요한 선전역할을 했다.

일본어

1894年の日清戦争後、日本は割讓、併合、租借、委任統治を通じて帝国日本の新しい領土を完成させた。これにより、国家の範囲を明確に告知し、効率的な統治、資本主義の発達による産業構造の変化を把握するために国勢調査が必要性は高まった。第1回国勢調査は1920年10月1日午前0時から午前8時まで実施され、全国民が参加する全国的な社会調査として、近代日本の「一国」という国家性と国民の範囲を確認した。臨時国勢調査事務局は、近代的な調査項目に対する国民の正確な回答のために様々な広報キャンペーンを実施し、その過程で国民は「近代」を自覚するようになった。 広報は視覚、聴覚、書面、実践的活動など多角的に行われた。視覚は記念絵葉書、切手、スタンプ、官報の広告、聴覚は様々な形の歌の繰り返し、文字はスローガン、雑誌、チラシ、新聞などが含まれた。最後に、現場では、幻灯会、演劇、講演会、展示観覧などの活動を展開された。広報の内容は、帝国が持つべき植民地という領土、太陽暦を基準にした時間、個人に対する「近代的」概念に対する認識と実践であった。具体的に第一、帝国の領土は様々な色で描かれた地図を視覚媒体に継続的に露出され、第二、太陽暦の午前0時から午前8時までの近代的な時間は、カレンダー、時計、フクロウ、鶏などのメタファーを活用した。第三、産業発展の新しい階層構造は、国民(国籍と民籍の区別)、そして近世の集団的な「家族」の範囲と区別される「個人」という近代的な象徴を教えた。その結果、第1回国勢調査は、近代国家と国民を理解する端緒として、帝国日本の「一国」という観念を持続させる重要な宣伝の役割を果たした。

목차

<요지>
Ⅰ. 머리말
Ⅱ. 제1회 국세조사의 시행
Ⅲ. ‘근대일본’의 정체성, 야마토(大和)
Ⅳ. 자각하는 ‘근대’
1. 근대적 ‘시간’의 등장
2. 개인의 발견
Ⅴ. 맺음말
<참고문헌>
要旨
Abstract

저자정보

  • 김경리 Kim, Kyoung-lee. 건국대학교 아시아콘텐츠연구소 조교수, 일본문화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