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초정상자극 관점에서 본 디지털 패션 제품 및 서비스 체험 특성

원문정보

Experience Characteristics of Digital Fashion Products and Service from the Perspective of Supernormal Stimuli

김신혜, 마진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upernormal stimuli—which originates from ethology—is a conceptual term that describes the theory of feeling stronger stimulation from artifacts than from reality. The approach of supernormal stimuli theory is meaningful because it presents a new hypothesis in the psychological exploration of the experience of people being attracted to the virtual world. This study adopted the perspective of supernormal stimuli, referring to the stimulation of human desires and imagination, in analyzing the key factors of metaverse development and proposing methods for developing digital fashion products and services. The analysis took cues from evolutionary psychology as well and identified the instinctive system of bias, distortion, and scalability as a psychological adaptation mechanism that evolved for survival and reproduc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is system stimulated the awareness and psychology of users experiencing digital fashion products and services, resulting in “psychological receptivity.” Thus, psychological receptivity constituted a measure of user receptivity and was found to vary depending on a user’s psychological perception and desire. The current findings showed that psychological receptivity was expanded to the user’s own leading and active experience, characterized by intuitive immersion, hedonic playfulness, and imaginary connectivity. Therefore, implementing psychological factors that engender reaction to supernormal stimuli in digital products and services is an important factor in increasing user participation and average session duration. In the context of the user-based metaverse industrial structure, the supernormal stimuli approach can be used to analyze the psychological basis and behavior of users. Based on this study, future research can expound upon the theoretical framework and suggest useful hypotheses for the direction of metaverse platforms and marketing research focusing on user psychology.

한국어

진보된 증강현실과 가상현실의 기술은 메타버스 플랫폼을 통해 디지털 세상의 경계를 불분명하게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인간의 욕망과 상상력을 자극하는 ‘초정상자극’의 관점에서 메타버스 발전의 핵심 요인을 분석하고, 향후 디지털 패션 제품과 서비스 개발 방법 제안에 목적을 둔다. 초정상자극은 동물행동학에서 기인하여 실제보다 인공물에 더 강한 자극을 느낀다는 이론을 개념화한 용어이다. 초정상자극 이론으로 접근 하는 이유는 실제가 아닌 가상세계에 이끌리는 체험자 심리 탐구에 새로운 가설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진화 심리학 관점에서 초정상자극은 생존과 번식을 위해 진화된 심리적 적응 기제로 편향성, 왜곡성, 확장성이라 는 본능 체계가 분석되었다. 이러한 본능 체계의 특성은 디지털 패션 제품과 서비스를 체험하는 사용자의 인지와 심리를 자극하여 ‘심리적 수용성’을 일으켰다. 심리적 수용성은 사용자의 체험 특성 연구임을 고려하 여 사용자의 심리적 인지와 욕구에 따라 달라지는 수용 척도로 정의하여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심리적 수용 성은 사용자 스스로의 주도적이고 능동적인 체험으로 확대시키며 직관적 몰입성, 쾌락적 유희성, 허상적 결 합성이라는 특성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디지털 패션 제품과 서비스는 사용자에게 즉각적인 인식, 몰입감, 감 각적 통합이라는 새로운 맥락의 체험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인간의 초정상자극을 반응하게 하는 심리적 요소 를 디지털 제품과 서비스에 구현하는 것은 사용자의 참여도와 체류시간을 증대시키는 중요한 요인으로 사료 된다. 사용자 기반인 메타버스 산업구조에서 초정상자극 개념의 접근은 사용자의 심리 기저와 행동 방식 분 석에 대안이 될 것이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사용자 심리에 중점을 둔 메타버스의 플랫폼과 마케팅 연구 방향 에 이론적 틀을 밝히고 도움이 될 만한 가설을 던지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목차

요약
Ⅰ. 서론
1. 연구 배경 및 목적
2. 연구 방법 및 내용
Ⅱ. 이론적 고찰
1. 개념 정의
2. 초정상자극의 특성
3. 메타버스의 유형 및 특성
Ⅲ. 메타버스 내 패션 산업 사례에 나타난 초정상자극 특성
1. 3D 가상 제품
2. VR 스페이스
3. 가상 피팅 서비스
Ⅳ. 사용자의 디지털 패션 제품과 서비스 체험 특성
1. 직관적 몰입성
2. 쾌락적 유희성
3. 허상적 결합성
Ⅴ.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김신혜 Kim, Shinhye. 홍익대학교 디자인공예학과 패션디자인 박사과정
  • 마진주 Ma, Jin Joo. 홍익대학교 패션대학원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