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se K-MOOC, which has limitations in utilization because it is centered on theory delivery, to derive tasks to activate the teaching methods of instructors, and to implement the derived tasks using the metaverse platform. to develop a prototype.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study was conducted as follows. First, from October 4 to November 15, 2022, a Delphi survey was conducted on 21 experts with experience of consulting, research, class development, and operation related to the K-MOOC project. Second, in order to realize the tasks in the teaching method field derived from the Delphi survey, matching with the teaching method class model elements to result of Delphi survey was applied was carried out.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expert Delphi and the elements of the class model applicable to the metaverse platform, a teaching method was developed. Through the process of the study, a total of 16 detailed items were derived for the teaching method-related tasks for the activation of K-MOOC: support strategic tasks, teaching method competency, aspect of class design, evaluation and sharing of learning outcomes. By applying the metaverse, the teaching model elements for K-MOOC revitalization were derived from four categories: self-directed repetition, individualized problem solving, practice opportunity expansion, and immediate feedback, and matched with the first 16 detailed items. A four-step teaching model was completed: course attendance (step 1), mission analysis by individual level (step 2), sharing of mission solutions (step 3), and mission evaluation and feedback (step 4).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metaverse as a teaching practice platform was confirmed even in terms of the introduction and development of specialized techniques.
한국어
연구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식과 이론전달에 편중되어 실재적으로 학습 적용하고 활용하는 데에 한계가 있는 K-MOOC의 활성화를 위한 과제가 무엇인지 도출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활성 화를 위한 과제는 교수자의 교수법과 관련된 분야에 초점을 둔다. 그리고 도출된 과제를 실행하기 위해서, 최근의 실습과 맥락적인 적용의 분야에서 교육적 가치를 보이는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 하여 교수법을 위한 수업모형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내용 및 방법 : 연구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절차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 번째, K-MOOC 사업과 관련된 자문 및 연구, 수업개발, 운영의 이력이 있는 전문가 21명을 대상으로 2022년 10 월 4일부터 11월 15일까지 2차에 걸쳐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델파이 조사를 두 번째로 델파 이 조사로 도출된 교수법 분야 과제를 실현하기 위해, 메타버스를 적용한 교수법 수업모형 요소와 매칭 하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전문가 델파이 결과와 메타버스 플랫폼 적용가능 수업 모형 요소를 바탕으로 교수법 수업모형을 개발하였다. 결론 및 제언 : 연구의 절차를 통해서 K-MOOC 활성화를 위한 교수법 관련 과제는 지원 전략적 과제, 교수법 역량, 수업설계 측면, 평가 및 학습 성과 공유의 4가지 과제 총 16개의 세부항목을 도출하였다. 메타버스를 적용하여 K-MOOC 활성화를 위한 교수법 수업모형 요소는 자기주도적인 반복, 개별화된 문제해결, 실습기회 확대, 즉각적인 피드백의 4가지로 도출하여 첫 번째 도출된 16개 세부항목과 매칭 하였다. 최종적으로 수업모형은 교수법 강좌수강(1단계), 수준별 미션분석(2 단계), 미션해결책 공유(3단계), 미션 평가 및 피드백(4단계)의 4단계로 최종 개발하였다. 본 연구 를 통해 교수법 실습 플랫폼으로써 메타버스의 활용가능성을 특화기법의 도입과 개발측면까지 확 인하였다.
목차
논문 요약
I. 들어가는 말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의 목적과 연구문제
Ⅱ. 이론적 배경
1. 메타버스의 의미와 특징
2. 메타버스 플랫폼의 교육적 활용
3. 구성주의 기반 수업환경으로서 메타버스 플랫폼
Ⅲ. 연구 방법
1. 연구절차
2. 초점집단 인터뷰를 통한 델파이 조사 내용 도출
3. 전문가 델파이 참여자
4. 자료 수집 및 분석 방법
Ⅳ. 연구결과
1. K-MOOC 활성화를 위한 교수법 관련 과제 도출
2. K-MOOC 활성화를 위한 메타버스 기반 교수법 수업모형 요소 도출
3. 메타버스를 적용한 교수법 수업모형 개발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