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A Study on Conflict-factors and Influence of the Bremen Controversy of 1905

원문정보

‘브레멘 학교논쟁’(1905)의 기독교교육 갈등요인에 관한 영향사 연구

Jeongdo An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Purpose of the Study: This paper focuses on a significant historical event, namely the Bremen teachers' movement of 1905, which aimed to abolish religious classes in public schools. By examining an incident in the German history of religious education that remains unfamiliar to the Korean Christian Association, I aim to explore the interconnected diachronic and synchronic influences involved in this particular event. Contents and Method: The religious controversy sparked by the Bremen Teacher's movement of 1905 marked the first official call for reform towards neutral religious education in schools. Several factors contributed to this debate, including the rise of civil society in the 19th century, advancements in science and scholarship, the emergence of social democracy, and the conflict between the Lutheran and Reformed Churches. This paper delves into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controversy and analyzes its impact on the develop of religious education in Germany. As reflected in the Bremen Document, the official outcome of the Bremen Teacher's Movement, educators argued for the separation of religion and education, emphasizing that religion is a deeply personal matter. The document called for the adoption of value-neutral moral education in public schools, achieved through objective Bible-History classes. This paper explores the impact of the Bremen School Dispute of 1905 on the development of religious education in Germany. Specifically, the provisions of the Bremen State Constitution of 1948 and the German Basic Law of 1949 were influenced by the controversy, with Article 141 of the Basic Law - known as the 'Bremen Clause' - providing a legal basis for the exclusion of churches from religion-classes at Schools in Bremen. The Bible-History Classes advocated in the Bremen Documents served as the basis for the present-day Bremen religious education curriculum well known for neutral objective religion-classes. Conlusion: This study analyzes the background, content, and influence of the Bremen School Controversy, which remains relatively unknown in Korea.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the ongoing discussion of Christian school education in Korea, with an emphasis on maintaining a Christian identity while promoting religious publicity in the classroom.

한국어

연구 목적 : 본 연구는 1905년 브레멘에서 일어난 교사들의 학교에서의 종교수업 폐지 운동에 관 한 역사적 사건 문헌 연구다. 한국 기독교학회에는 아직 소개되지 않은 독일 종교교육사의 한 사 건을 조망하면서, 이 사건 안에 얽혀있는 통시적·공시적 영향력을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 내용 및 방법 : 1905년 독일 브레멘을 중심으로 일어난 학교 종교수업에 대한 논쟁은 학교 종교교육 역사에서 중립적 종교수업으로의 개혁을 공식적으로 요구한 최초의 사건이다. 그 배경에 는 19세기 시민 사회의 성장, 과학과 학문의 발전, 사회민주주의 정치적 발달, 루터교회와 개혁교 회의 갈등과 같은 다양한 촉발 요인이 존재한다. 이 논쟁의 공식 결과물인 ‘브레멘 문서’에서 교사 들은 종교가 지극히 사적인 영역에 속한다는 논리로 학교와 교회, 종교와 교육이 분리되어야 함을 주장한다. 그리고 가치중립적인 도덕교육을 지향하며 객관적 ‘성서 역사 수업’을 제안한다. 1905 년 브레멘 학교논쟁은 이후 1948년 브레멘 주 헌법, 1949년 독일 기본법의 종교교육 관련 법 조 문에 영향을 미쳤다. 기본법 제 141조는 ‘브레멘 조항’이라고 불리며, 브레멘 종교수업에 교회가 관여할 수 없는 법적 근거를 제시하기 때문이다. ‘브레멘 문서’에서 요구된 성서 역사 수업은 오늘 날 브레멘 종교교육 과정의 특징인 ‘성서역사수업’(BGU)의 모태가 된다. 결론 및 제언 : 1905년 브레멘 학교논쟁은 학교에서의 종교 중립적인 수업에 대한 최초 논의이다. ‘브레멘 학교 논쟁’의 배경, 내용, 영향을 살펴보면 오늘날 한국 기독교 학교교육의 논의에서도 놓 치지 말아야 할 점을 다시 한 번 확인하고 기독교 정체성을 지켜나가는 시사점을 발견할 수 있다.

목차

Abstract
논문 요약
I. 들어가는 말
II. 배경 이해: 갈등의 축적과 증폭
1. 정치적 변화: 국가 주도의 교육 정치화
2. 종교사적 변화 - 종교에 대해 새로운 관점 형성
3. 교사들의 정치적 결집: 브레멘 교사연맹 (Bremeischen Lehrverein)
4. 새로운 ‘시민 학교’와 중립적 ‘성서 역사 수업’
III. 브레멘 학교 논쟁과 문서들
1. 1905년 4월『회보』(Rundschrift): “종교 수업을 대체할 교육 자료”
2. 1905년 5월 『브레멘 문서』(Denkschrift): “종교수업인가 아닌가?”
Ⅳ. 『브레멘 문서』의 법률적 영향: 『브레멘주 헌법』(1947)부터『독일기본법』(1948) “브레멘 조항”(Bremen Klausel, Art. 141 GG)
1. 『브레멘주 헌법』(1947): “종파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일반적인 기독교?”
2. 『독일기본법』(1948) “브레멘 조항”(Bremen Klausel, Art. 141 GG): “다른 법률이 존재하는 주에서는…”
3. “브레멘 조항”(Art. 141 GG)의 강력한 법적 효과
4. “브레멘 조항”의 장기적인 후속 영향: 탈교리적 종교 수업
Ⅴ. 브레멘 학교 논쟁이 한국 기독교 학교교육에 주는 시사점
1. 학교의 설립 이념과 기독교 정체성의 전복
2. 종교학 관점에서 기독교 이해와 영향
3. 기독교교육 발전의 신학적 성찰과 자극
Ⅵ. 나가는 글
참고문헌

저자정보

  • Jeongdo An 안정도. Presbyterian University and Theological Seminary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