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Development Plans of Vegan Consumption Movement in Gwangju and Jeollanam-do : A Mixed Method Approach
초록
영어
Driven by concerns about climate change and a growing voice of reflection on the factory farming industry, which involves animal cruelty, an increasing number of consumers are embracing veganism. However, the vegan consumption movement in the Gwangju and Jeonnam regions is still in its early stages and has not gained significant momentum.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erive strategies for the development of the vegan consumption movement within the Gwangju and Jeonnam regions, using a mixed-methods approach that combines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ies. Firstly, through a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involving a survey of local consumers, it was revealed that the awareness of the term “vegan‘ itself was high, with over 90% recognition, and over 80% expressed support for the vegan movement. The exposure to vegan campaigns showed increasing as the level of vegan awareness was higher, and a mediating relationship was observed among awareness of veganism, exposure to vegan campaigns, and favorable impressions towards veganism. Secondly, employing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rough interviews with vegan activists in the region, it was identified that the vegan movement in the Gwangju and Jeonnam areas lacked effective strategies targeting the general public, emphasizing animal rights excessively. Additionally, due to inadequate material and human resources, there were challenges in forming official organizations and implementing diverse programs. Thus, the need for establishing collaborative regional networks or governance with a common goal of addressing the climate crisis was recognized. Lastly, based on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findings, the SWOT analysis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Strength(S) were the high level of support for veganism among consumers in their 30s and the progressive political tendencies that can lead to support for veganism in the Gwangju and Jeonnam regions. Weaknesses (W) were the lack of resources, as well as the absence of a core driving system and inadequate distribution environment for vegan products. Opportunity(O) were the growing number of consumers interested in health and environment and government’s declaration of carbon neutrality. Threats(T) were local depopulation resulting in the decrease in the youth population and the continuous increase in meat consumption. The expansion of the vegan consumption movement can be realized through the collaborative governance of the three key stakeholders in the local community: local governments, local businesses, and vegan consumption activists, utilizing the strengths, opportunities, weaknesses, and threats of the vegan movement in the Gwangju and Jeonnam regions. Based on the comprehensive analysis results applying a mixed-methods approach, this study proposes the establishment of collaborative governance among local governments, local businesses, and activists as a development strategy for the vegan consumption movement in the Gwangju and Jeonnam regions, aiming for carbon neutrality.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each governance participant are as follows: First, local governments can introduce policies promoting low-carbon dietary culture while expanding support for the vegan consumption movement, and enhance consumers’ rights to choose veganism. Second, local businesses can strengthen their ESG management and prepare for the launch of vegan products while collaborating on campaigns to promote vegan/vegetarian culture. Third, vegan activists can focus on spreading the practice of vegan lifestyle in everyday life through online platforms, thereby finding new momentum for the vegan movement. They can develop targeted campaign strategies for different age groups, advocate for consumers' rights to be informed and choose vegan/vegetarian options, and collaborate with consumer organizations to conduct consumer education activities.
한국어
이상기후에 대한 우려와 동물을 학대하는 공장식 축산업에 대한 반성의 목소리에 힘입어 비거니즘(Veganism) 을 실천하는 소비자들이 증가하고 있지만 광주․전남 지역에서 비건 소비운동은 아직 초기 단계이며, 큰 반향을 얻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양적-질적 혼합연구 방법론을 활용하여 광주․전남지역 내 비건 소비운동의 발전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먼저 양적 연구방법론을 활용한 지역주민 대상 설문조사 결과, ‘비건’이라는 용어 자체에 대한 인지도는 90%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80% 이상이 비건 소비운동에 지지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비건 캠페인 노출 경험은 비건 인지도가 높을수록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비건 캠페인에 노출된 경험이 비건 인지도와 비거니즘에 대 한 호의적인 인상 사이의 관계를 매개함을 확인하였다. 질적 연구방법론을 활용하여 지역 내 비건 소비운동가들을 인터뷰한 결과 광주․전남권 비건 소비운동이 동물 권을 지나치게 강조하는 등 일반 대중을 위한 접근 전략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물적․인적 자원 확보 의 미비로 인해 공식 단체 구성과 다양한 프로그램 전개의 어려움이 있어, 기후위기 대응이라는 공통 목적을 갖 는 협력적 지역 거버넌스를 구축할 필요성이 파악되었다. 마지막으로 양적․질적 연구 결과를 종합한 SWOT분석 결과, 정부의 탄소중립 선언과 건강과 환경에 관심이 높은 소비자의 증가라는 사회변화를 기회(O)로 30대 연령에 호소하고, 지역의 진보적인 정치적 성향과 ‘맛의 고 장’ 지역성 등의 강점(S)을 잘 활용한다면, 핵심 추진체계의 부재와 비거니즘 상품 유통 환경의 미흡 등의 약점(W) 과 지방소멸과 청년인구 감소, 육식의 지속적 증가 등의 위협(T)을 잘 극복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비건 소비운동의 확산은 탄소중립을 목표로 지역사회의 세 주체인 지방정부와 지역기업, 사회운동가가 광주․전남 비건 소비운동의 강점과 기회, 약점과 위협요인을 활용해 협력적 거버넌스를 구축할 때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양적-질적 혼합 연구방법을 적용한 이상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탄소중립을 지향하는 지방정부와 지역기업, 운동가 간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을 광주ㆍ전남 지역 비건 소비운동의 발전전략으로 제안하였다. 거버 넌스 참여 주체별 역할 배분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방정부는 저탄소 식문화 확산을 위한 정책을 도입하는 한편, 비건 소비운동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고, 비거니즘에 대한 소비자의 ‘알 권리’와 ‘선택할 권리’의 보장을 확대할 수 있다. 둘째, 지역기업은 ESG 경영을 강화하고, 비건상품 출시를 준비하는 한편, 비건/채식 문화 조성 캠페인에 협력할 수 있다. 셋째, 비건 소비운동가는 온라인 공간을 중심으로 일상 속 비건 라이프스타일의 실천을 확산시키는 데에 집중하면서 비건 소비운동의 새로운 동력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비건 소비운동가는 연령대별 캠페인 전략을 세우고 소비자의 알 권리와 채식 선택할 권리보장을 요구하는 한편, 소비자단체와 연계하여 소비자교육 활동을 전개할 수 있다.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고찰
1. 소비자운동의 개인화와 비건 라이프스타일 운동의 대두
2. 비건을 포함한 채식주의자의 정의와 분류
3. 비건 소비운동가들의 소비운동 전략
4. 비건 소비운동 등 라이프스타일 운동 참여 영향요인 고찰
5. 광주ㆍ전남 지역 등 비수도권 지역의 비건 소비운동 현황
Ⅲ. 연구방법
1. 연구문제
2. 분석방법
3. 자료수집방법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1. 지역 소비자 대상 설문조사 결과 양적 분석
2. 지역 비건 소비운동가 대상 인터뷰 결과의 질적분석
3. 광주ㆍ전남권 비건 소비운동의 발전방안 탐색을 위한 SWOT분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