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판 죄책감과 수치심 성향 척도(K-GSP) 타당화 연구

원문정보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Guilt and Shame Proneness Scale (K-GSP)

유설혜, 안정광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validate the Korean version of the GSP (guilt and shame proneness, GSP) scale. GSP reflects two theoretically and empirically influential theories (behavioral evaluation versus self-evaluation, private experience versus public experience) that measure guilt and shame and distinguishes the cognitive responses (behavior evaluation versus self-evaluation) and behavioral responses (repair behavior versus withdrawal behavior) of each emotion. Guilt and shame are representative emotions of self-consciousness and share self-consciousness variables preceded by self-reflection and self-awareness. Therefore, to clearly understand the factor structure of GSP, a bi-factor model analysis was conducted, assuming that a general factor (self-consciousness) independently affects sub-factors. Data were collected from 320 adults aged 18 and 69 online. As a result of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Korean version of the GSP was most suitable for the bi-factor model (self-consciousness as a general factor, guilt-negative behavior evaluation, guilt-repair, shame-negative self-evaluation, and shame-withdraw as a group factor).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Korean version of the GSP constitutes a multi-dimensional factor structure that measures self-awareness and four factors rather than a uni-dimension. The reliability, concurrent validity, and divergent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GSP were good.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first validated GSP in the Korean version and improved the conceptual clarity of the GSP scale by investigating the effect of self-consciousness across the scale and verifying the bi-factor model.

한국어

본 연구는 죄책감과 수치심 성향 척도(Guilt and Shame Proneness, GSP)를 한국판으로 타당화하 는 데 목적이 있다. GSP는 죄책감과 수치심을 구분하는 학문적, 경험적으로 영향력 있는 두 가지 이론인 행동 평가 대 자기 평가, 사적 경험 대 공적 경험을 통합적으로 반영하고, 각 정 서의 인지적 반응인 행동 평가 대 자기 평가와 행동적 반응인 회복 행동 대 철회 행동을 확 인할 수 있어 널리 사용되는 척도이다. 죄책감과 수치심은 대표적인 자의식 정서로서 자기 성찰 및 자기 인식 과정이 선행되는 자의식 변인을 공유한다. 따라서 GSP의 요인 구조를 명 확하게 이해하기 위해 하위 요인에 독립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일반요인인 자의식이 있음을 가정해 쌍요인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온라인을 통해 만 18세에서 만 69세 사이의 성인 320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확인적 요인 분석 결과, 한국판 GSP는 쌍요인 모형(일반요인의 자의식, 집단요인의 죄책감-부정적 행동 평가, 죄책감-회복, 수치심-부정적 자기 평가, 수치심- 철회)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판 GSP가 단일 차원이 아닌 자의식과 4요인 을 모두 측정하는 다차원적 요인 구조를 구성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신뢰도 및 타당도 분 석 결과, 한국판 GSP의 신뢰도와 동시 및 변별 타당도가 양호하였다. 본 연구는 GSP 척도 전 반에 걸친 자의식의 영향을 규명하고 이를 쌍요인 모형으로 검증함으로써 GSP 척도의 개념 적 명확성을 향상시켰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목차

요약
방법
연구 대상
측정 도구
분석 방법
결과
GSP의 확인적 요인분석
GSP의 문항 및 신뢰도 분석
GSP의 동시 타당도 분석
GSP의 변별 타당도 분석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부록] 한국판 죄책감과 수치심 성향 척도(K-GSP)

저자정보

  • 유설혜 Seol-Hye Yu. 충북대학교 심리학과
  • 안정광 Jung-Kwang Ahn. 충북대학교 심리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