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현대 한국어 ‘X+상(上)’, ‘X+하(下)’ 구성의 의미와 문법

원문정보

The Meaning and Grammar of the Construction of ‘X+sang’ and ‘X+ha’ in Contemporary Korean

마영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discussed the morphological and grammatical features of the construction of ‘X+sang’ and ‘X+ha’ including the Sino-korean ‘sang’ and ‘ha’ in Korean. The ‘sang’ of ‘X+sang’ has eight meanings: ‘above or above an object’, “‘going up’ or ‘upward’”, ‘the surface of paper or screen’, ‘abstract space of communication’, ‘related to norms/instructions’, ‘related to behavior/act’, and ‘related to appearance/external factors’. And the ‘ha’ used in ‘X+ha’ has five meanings: ‘below or below an object’, “‘get down’ or ‘down’”, ‘related to conditions/environment’, ‘related to rule/domination’, and ‘related to help’. In addition, the distribution of Sino-korean ‘sang’ and ‘ha’ in the construction of ‘X+sang’ and ‘X+ha’ is relatively regular. In the case of the meaning of specific space, it appears in two-character words and has B-character usage, and in the case of abstract meaning, it appears in three or multi-character words and has β-character usage. As a syntactic feature, when the construction of ‘X+sang’ and ‘X+ha’ is used in a sentence, the combination pattern with the postpositional particle was analyzed by meaning. Usually, it functions as a adnominal phrase in combination with the adnominal case marker ‘uy’, and functions as an adverb in combination with ‘lo’, ‘ey’, and ‘eyse’. However, there are also restrictions when combining. In addition, the grammatical status of the suffix ‘-sang’ and ‘-ha’ are different, and ‘sang’ is close to a suffix, while ‘ha’ has the use of bound noun.

한국어

본 연구는 한자어 ‘상(上)’과 ‘하(下)’가 포함된 현대 한국어 ‘X+상’, ‘X+하’ 구성을 연구 대 상으로 삼고 ‘X+상’, ‘X+하’ 구성의 형태적 특징과 문법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X+상’ 구성의 ‘상’은 ‘물체의 위나 위쪽’, “‘올라가다’ 또는 ‘위로’”, ‘지면/화면’, ‘추상적 통신의 공간’, ‘규범/ 제도와 관련된 것’, ‘행동/행위와 관련된 것’, ‘모양/외재적 특성과 관련된 것’, ‘외부 요인과 관련된 것’의 8가지 의미를 가진다. 또한 ‘X+하’ 구성에 쓰인 ‘하’는 ‘물체의 아래나 아래쪽’, “‘내리다’ 또는 ‘아래로’”, ‘조건/환경과 관련된 것’, ‘통치/지배와 관련된 것’, ‘도움과 관련된 것’의 5가지 의미로 나뉜다. 그리고 ‘X+상’, ‘X+하’ 구성에서 한자 ‘상’과 ‘하’의 분포는 비교 적 규칙적이다. 구체적인 공간의 의미의 경우 2자어로 나타나고 B자 용법을 가지고 있으며 추상적인 의미의 경우 3자어 내지 다자어로 나타나고 β자 용법을 가지고 있다. 통사적 특징 으로 ‘X+상’, ‘X+하’ 구성이 문장에서 쓰일 때 의미별로 조사와의 결합 양상을 분석하였다. 대개 관형격조사 ‘의’와 결합하여 관형어의 역할을 하고, 부사격조사 ‘로’, ‘에’, ‘에서’와 결합 하여 부사어의 기능을 한다. 그런데 결합할 때 제약이 걸리기도 한다. 이외에 접미한자어 ‘- 상’과 ‘-하’의 문법적 지위가 다르고, ‘상’은 접미사에 가까운 반면에 ‘하’는 의존명사의 용법까 지 가지게 된다.

목차

국문요약
1. 서론
2. 한자 형태소 ‘상(上)’, ‘하(下)’의 의미
3. ‘상(上)’, ‘하(下)’의 2자어 3자어 문법
4. ‘X+상(上)’, ‘X+하(下)’ 구성의 문법적 특징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마영리 Ma, Yongli.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과정 수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