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장애 아동 및 청소년에게 가상현실(VR) 기반 작업치료 중재가 미치는 영향 : 체계적 고찰

원문정보

Effect of Virtual Reality-based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s for Disabled Children and Adolescents : A Systematic Review

김만제, 길영숙, 강셋별, 이재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ystematically analyze the methods by which virtual reality (VR)-based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s are applied to disabled children and adolescents and to assess their effectiveness. Methods : The RISS, DBpia, KCI, Science Direct, and CINAHL MEDLINE databases were searched for relevant literature from January 2012 to August 2022. The main search terms used were “virtual reality,” “work therapy,” “youth,” “virtual reality,” “occupational therapy,” “child,” and “adolescent.” A total of 16 documents were selected for analysis by the 4th stage of the PRISMA flowchart. Results : In the 16 selected studies, VR-based occupational therapy when used with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and was shown to have meaningful effects. Among the types of cerebral palsy covered in the studies, the most common was hemiplegia, and the evaluation tools used for measurement of the VR effect were daily activities, cognition, exercise technology, social-interaction technology, and visual-perception evaluation. Nintendo wii and Microsoft Kinect produced the VR tools most commonly used to improve motor skills and daily life.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VR interventions can be used effectively in clinical practice. In the future, they may assist in the diagnosis of disabled children and adolescents, in helping to select VR tools that are suitable for the purposes of intervention, and in the presentation of specific methods.

한국어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 아동 및 청소년에게 적용한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 기반 작업치료 중재의 효과와 적용 방법에 대해서 체계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2012년 1월부터 2022년 8월까지 RISS, DBpia, KCI, Science direct, CINAHL MEDLINE에서 문헌을 검색하였다. 주요 검색용어로 ‘가상현실’, ‘작업치료’, ‘아동’, ‘청소년’, ‘Virtual Reality’, ‘Occupational Therapy’, ‘Child’, ‘Adolescent’을 사용하였다. PRISMA의 Flowchart 4단계를 거쳐 총 16편의 문헌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결과 : 선정된 16편의 연구에서 장애 아동 및 청소년에게 사용된 VR 기반 작업치료 중재가 유의미한 효과 를 보였다. 중재 대상자는 뇌성마비 유형 중 편마비 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효과 측 정에 사용된 평가도구는 일상생활활동, 인지, 운동기술, 사회적-상호작용기술, 시-지각 평가이었다. 중재 도구로는 Nintendo Wii와 Microsoft Kinect가 운동기술 및 일상생활 향상을 위하여 가장 많이 사용되 었다. 결론 : 본 연구를 바탕으로 향후에는 장애 아동 및 청소년의 진단과 중재목적에 맞는 VR 도구 선택과 구 체적인 방법의 제시를 통하여 VR중재가 임상에서 더욱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방법
2. 연구의 분석방법
Ⅲ. 연구 결과
1. 선정된 논문의 질적수준
2. 중재의 대상 참가자
3. Virtual Reality(VR) 중재 도구
4. 중재의 시간과 기간
5. 중재효과 측정을 위한 평가도구
6. Virtual Reality(VR)을 사용한 중재의 효과
Ⅳ. 고찰
참고 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만제 Kim, Man-Je. 건양대학교 일반대학원 작업치료학과 석사과정
  • 길영숙 Gil, Young-Suk. 건양대학교 일반대학원 작업치료학과 석사과정
  • 강셋별 Kang, Set-Byul. 건양대학교 일반대학원 작업치료학과 석사과정
  • 이재신 Lee, Jae-Shin. 건양대학교 의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