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간호대학생의 좋은 죽음 인식

원문정보

Perception of Good Death among Nursing Students

윤일훈, 문원희, 박수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conducted to find out the level of perception of the good death among nursing students and compare sub-factors among the perceptions of a good death. As for the research method, 102 people who explained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agreed to participate were conveniently recruited. As a research tool, ‘Measure of concept of a Good Death’ by Schwartz et al. (2003) was translated by Lee (2017), and the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online. For data analysis, statistical techniques such as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analysis, t-test, and one-way ANOVA of the IBM SPSS Statistics 26 program were used. Factors showing average differences in scores for each of the three sub-factors of good death awareness were derived from the experience of clinical practice. The mean of good death (3.13±0.36 points) of nursing students who experienced clinical practi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students without clinical practice experience (2.90±0.31 points) (t=3.156, p=.002). In particular, the mean of good death for ‘closu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for those with experience in clinical practice (3.46±0.39 points) than those without experience (3.16±0.37 points) (t=3.476, p=.001).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nursing students' perception of a good death differed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y were in clinical practi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establishment of effective educational strategies for the perception of good death in nursing students.

한국어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들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정도를 알아보고 하위요인 간의 점수 비교를 통해 좋은 죽음의 속성 중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을 비교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의 목적을 설명하고 참여에 동의한 102명을 편의 모집하였다. 연구도구는 Schwartz 등의 ‘Measure of concept of a Good Death’을 번역한 도구로 온라인을 통해 진행하였다. 자료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26 프로그램의 빈도분석, 기술통계,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 등의 통계기법을 활용하였다. 좋은 죽음 인식의 세 가지 하위요인별 점수의 평균차이를 보인 요인은 임상실습의 경험으로 도출 되었다. 임상실습을 경험한 학생들의 좋은 죽임 인식의 평균(3.13±0.36점)이 임상실습 경험이 없는 학생들(2.90±0.31점)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t=3.156, p=.002). 특히 임상실습 유경험자(3.46±0.39점)가 무경험자(3.16±0.37점)보다 통계적 으로 유의하게 친밀감에 대한 좋은 죽임 인식의 평균이 높았다(t=3.476, p=.001). 본 연구를 통해 간호대학생들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은 임상실습 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간호대학생의 좋은 죽음 인식에 대한 효과적 인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2. 연구방법
2.1 연구설계
2.2 연구대상자
2.3 연구도구
2.4 자료분석
3. 연구결과
3.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죽음 관련 특성
3.2 좋은 죽음 인식의 요인분석
3.3 좋은 죽음 인식
3.4 좋은 죽음 인식의 평균 차이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저자정보

  • 윤일훈 Il-hoon Yun. 배재대학교 간호학과 학생
  • 문원희 Weon-Hee Moon. 배재대학교 간호학과 교수
  • 박수정 Su-Jeong Park. 배재대학교 간호학과 학생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