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the author wrote the contents of the textbook under the curriculum Influence in the process of writing Korean history textbooks for the 2015 revised history curriculum. To do so, I examined how textbook authors interpreted the new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2015 revised history curriculum and reflected them in their textbook content organization. Two textbook authors were interviewed, focusing on how they implemented their intentions in the experience of textbook writing. The interviews were transcribed and coded semantically, and nine categories and three themes emerged. This process revealed how authors thought about and implemented the language of the curriculum performance standards into their textbooks. The authors made meaning by interpreting the standards presented in the curriculum from their perspectives, and they existed as agent to organize and select content in the textbook writing process.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역사과 교육과정 한국사 교과서 집필 과정 에서 집필자가 교육과정 규정력 아래에서 어떤 의도를 가지고 교과서 내용을 집필했는지를 탐구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역사과 교육과정에서 새롭게 등장한 성취기준을 교과서 집필자가 어떻게 해석하여 교과서 내용 구 성에 반영했는지를 살펴보았다. 교과서 집필자 2명을 인터뷰하였고, 그들의 교과서 집필이라는 체험 속에서 그 의도를 어떻게 구현하였는지에 집중하였 다. 인터뷰 내용은 모두 전사하여 의미단위로 코딩하였고, 9개의 범주와 3개 의 테마가 도출 되었다. 이 과정을 통해 교육과정 성취 기준의 용어를 집필자 가 어떠한 고민을 거쳐 교과서에 구현했는지를 알 수 있었다. 집필자들은 교 육과정에 제시된 기준을 자신의 관점을 가지고 해석하여 의미를 만들어 냈으 며, 교과서 집필 과정에서 내용을 구성하고 선택하는 자율성을 가진 행위주 체로 분명하게 존재하였다.
목차
Ⅱ. 개념적 토대: 교육과정의 교과서 규정력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질적 연구 방법으로서의 심층 면담
Ⅳ. 연구 결과: 교과서 집필자의 교과서 구현
Ⅴ. 논의: 역사과 교육과정의 규정성과 교과서 집필자의 자율성
Ⅵ. 맺음말: 요약, 제언
참고문헌
국문요약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