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遼代 陳國公主墓 출토 이슬람 유리병을 통해 본 향문화

원문정보

A Study of Incense Culture in China using the Islamic Glassware Excavated from the Tomb of Princess Chen and Xiao Shaoju of the Liao Dynasty

요대 진국공주묘 출토 이슬람 유리병을 통해 본 향문화

최국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origin, inflow route, and uses of the Islamic glass bottle excavated from the tomb of Princess Chen and her husband, Xiao Shaoju, at Naiman Banner, Inner Mongolia. In addition, the correlation between incense culture and Islamic spices introduced in the Liao and Song dynasties was investigated. The wide-mouthed, long-necked, and flat cylindrical shaped glass bottle found at the tomb of Princess Chen and Xiao Shaoju is typical of the glassware that began to emerge in the 9th century in the Islamic world, including the Mediterranean and West Asia. This type of glass bottle was presumed to have been used as a perfume bottle for storing rose water. It was found with cloves at the underground relic crypt of Zhenshen Pagoda at Changgan Buddhist Temple in Northern Song in Jiangsu province, and it was verified to be a vessel to store incense in China. By comparing this glass bottle with the excavated items of Nishapur, Iran, it was confirmed that the glass bottle excavated from the tomb of Princess Chen and Xiao Shaoju was made in Iran. In addition, it is estimated that it was introduced through land trade routes in the north in the 10th and the 12th centuries as a result of frequent contact and exchanges between the Liao and Islamic empires. This kind of glass bottles, which contained frankincense and rose water, were used to add fragrance to spaces and clothing and were used for beautification in daily life. They were handed down during the Liao and Song dynasties and were dedicated as incense offerings in Buddhist rituals. Moreover, this type of glassware influenced not only the Song dynasty but also the Goryeo dynasty; therefore, it was made into a celadon vase and was used as a flower vase. Islamic glass bottles found in certain ancient sites such as the tomb of Princess Chen and Xiao Shaoju are important as they serve as a valuable criterion for determining the age of Islamic glassware in museums when the age of the excavated site is unclear. This study is decisive evidence that the Liao and Islamic regions actively interacted through the northern land trade route when it was somewhat neglected in history due to the extensive use of the Silk Road during the 10th and the 12th centuries.

한국어

본 논문은 內蒙古 通遼市 奈曼旗 遼代 陳國公主墓에서 출토된 유리병의 원류와 유입경로를 분석하고 요나라와 송대에 아랍으로부터 유입된 향료와의 상관관계를 살펴 그 용도와 요대 향문화 양상을 고찰한 것이다. 진국공주묘에서 발견된 입이 넓고 목이 가늘고 길며 몸체가 원통형으로 된 유리병은 9세기 지중해, 서아시아를 포함한 이슬람권에서 출현하기 시작한 전형적인 이슬람 유리기이다. 이 유형의 유리병은 일찍이 장미수를 담는 향수병으로 추정되었는데 실제로 江蘇 南京 大報恩寺 유적 내 北宋 長干寺 眞身塔 지궁에서 정향이 담긴 채 발견되어 중국에서 향을 담는 향구로 사용되었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진국공주묘의 유리병은 이란 니샤푸르 출토품 및 전세품과 상호비교를 통해서 이란지역에서 제작되어, 10∼12세기 요와 이슬람 제국 간의 전개된 빈번한 접촉과 교류의 결과로 북방의 육상교역로를 통해 유입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 같은 유리병은 요와 송대 전해진 아랍계 향료인 유향과 장미수를 담아 일상생활에서 공간, 의복, 미용 등에 향을 더하는 용도로 활용되었고 불교 활동에서 향공양물로써 봉헌되었다. 아울러 송과 고려의 도자기 기형에도 영향을 끼쳐 동일한 유형의 청자병이 제작되었고 꽃을 꽂는 화병으로 사용되어 그 쓰임새가 확장되었다. 진국공주묘와 같이 紀年이 확실한 유적에서 발견된 이슬람 유리병은 출토지가 불명확한 상태로 박물관에 소장된 이슬람 유리기의 연대를 결정하는 데 기준이 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더욱이 요대 이슬람 유리기는 10∼12세기 실크로드 연구사에서 다소 소홀하게 취급받던 북방 육로를 통해 요와 이슬람 지역이 당시에 활발하게 교류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물적 증거가 된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진국공주묘 출토 이슬람 유리병과 향료
Ⅲ. 요대 유리 교역로와 향문화 양상
Ⅳ.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정보

  • 최국희 Choi, Guk-hee. 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