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경찰 공무원의 직무특성과 공공봉사동기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The Effects of Police Officers' Job Characteristics and Public Service Motivation on Job Performance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이준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effects of two motivational factors, job characteristic model and public service motivation (PSM), on job performance. The effect was verified by using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parameters in the psychological pathwa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neither job characteristic motivation nor public service motivation had a direct effect on job performance. These results mean that job characteristics and public service motives themselves do not lead to job performance at the individual level. Second, it was found that job characteristic motivation affects job performance through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se results mean that job characteristics such as job skill diversity, task identity, task significance, autonomy, and feedback affect job attitudes such a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y acting on individual psychology. Third, public service motivation did not show an influencing relationship with job performance through job satisfaction, but i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job performance through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se results raise questions about the fact that the job characteristic theory has received relatively little attention compared to the public service motive, which has been focused as a public-specific motive in research on public organizations. It can be said that a reexamination of the job characteristics model is required in the future, and multidimensional research on public service motives and other intrinsic motives is required.

한국어

이 연구는 직무특성모형(job characteristic model)과 공공봉사동기(PSM: public service motivation)의 두 가지 동기요인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분석하였다. 그리고 직무특성 및 공공봉사동기가 직무성과에 미치는 심리적 경로에서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매개변수로 하여 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제시된다. 첫째, 직무특성동기와 공공봉사동기 모두 직무성과에 직접 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직무특성과 공공봉사동기 자체가 개인 수준에서의 직무성과로 직접 이어지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직무특성동기는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을 통해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공공봉사동기는 직무만족을 통해서는 직무성과와 영향관계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조직몰입을 매개로 할 때만 직무성과에 긍정적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는 그동안 공공조직의 연구에서 공공부문 특유의 동기로서 공공봉사동기론에 초점을 두어온 것에 비해 직무특성이론에 상대적으로 적은 관심을 보 인 데에 문제를 제기할 수 있다. 따라서 향후 직무특성모형의 이론적 유용성에 대한 재검토가 필 요하며, 공공봉사동기 및 다른 내재적 동기와 다차원적 연구가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토의 및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준호 Jun-Ho, Lee. 동국대학교 행정·경찰공공학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